산업 기업

4차 혁명에서 중기가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방안은?

중기부, 8일 프레스센터서 '중소기업 기술혁신 포럼' 개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중소기업이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가 열렸다.

중소벤처기업부는 8일 오후 광화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제1회 중소기업 기술혁신 포럼’을 갖고 이 같은 주제로 활발한 논의를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4차 산업혁명을 기회로 중소기업이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토마스 그리즈(Thomas Gries) 독일 아헨공대 교수,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이사와 황성일 맥스포 대표가 주제 발표를 맡았다.

제조업 혁신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그리즈 교수는 독일 인더스트리 4.0 정책의 성과와 시사점을 설명하면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혁신을 위해서 제조업과 ICT 융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최고임원인 이건복 이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중소기업에 필요한 전략 기술과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자사의 상생 모델을 제시했다.


무선통신 기반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은 맥스포의 황성일 대표는 정부 연구개발(R&D) 정책 관련 중소기업 전용 융합기술 R&D 플랫폼 구축과 과정도 중시하는 R&D 제도 개선을 제안했다.

관련기사



전문가 패널 세션에서는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과 교수가 “4차 산업혁명에서 대학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서 대학이 보유한 원천기술의 사업화와 창업정책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진우 스마트공장추진단장은 제조업 혁신을 위해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표준의 체계적인 보급·확산과 테스트베드 구축 등 스마트공장 고도화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

중기부는 제조업과 서비스의 융합, 기술기반 서비스 창업 활성화, 스마트공장 확산·고도화를 통한 제조업 혁신, 중소기업 R&D 혁신과 산학협력구조 개편 등 중소기업의 혁신을 위한 다양한 주제 전문가 의견을 듣고 정책 수립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최수규 중기부 차관은 “중소기업이 혁신의 주체가 되어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야 한다”며 “기업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시장에서 경쟁을 통해 성장하는 중소·벤처기업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중기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