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송도 알짜배기 6·8공구 개발 표류 하나

인천경제청-블루코어시티 컨소시엄

땅값·개발이익금 환수 등 이견

협상 난항 끝 본계약 체결 못해

인천시의회, 특별조사위 구성

송도국제도시 6·8공구 전경. 개발 본계약 체결이 무산되면서 사업 표류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송도국제도시 6·8공구 전경. 개발 본계약 체결이 무산되면서 사업 표류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 송도국제도시 알짜배기 땅으로 꼽히는 6·8공구 128만㎡ 개발 사업 본계약 체결이 무산돼 상당기간 표류할 가능성이 커졌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6·8공구 개발 사업 우선협상대상자인 블루코어시티 컨소시엄과 사업 협약 최종 기일인 지난 7일까지 이견을 좁히지 못해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10일 밝혔다. 인천경제청은 송도 6·8공구를 포함한 경제자유구역의 개발과 발전 방향에 대해 조속한 시일 내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덧붙였다.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11월 송도 6·8공구 128만㎡를 개발할 사업시행사를 공모하고 올해 5월 대상산업·포스코건설·GS건설·한국산업은행 등이 참여한 블루코어시티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블루코어시티 측은 공모 당시 지침서상 나와 있는 땅값으로 1조3,800억원(토지매입비)을 제시했고 128만㎡의 개발 콘셉트를 내놓았다. 특히 초등학교 설립과 ‘경제자유구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특별법)’에 따른 개발이익 10% 환수 이행, 땅값을 치른 6만6,000㎡(공공시설용지) 기부채납, 매년 원도심 저소득층 지원에 10억원 기부 등 부대 조건을 제시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얻었다.

관련기사



이후 양측은 4개월 동안 협상을 진행했으나 땅값과 개발이익금 환수 부분에 대한 이견으로 7월 중순께부터 잡음이 생겼다. 인천경제청은 이때부터 공모지침서에 없는 2년 뒤 감정평가를 통한 토지가격 납부 등 10개 항의 요구사항을 컨소시엄에 제시하면서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인천경제청은 협상 마지막 날인 7일에도 블루코어시티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상실했는지, 협약 체결을 위한 시간을 추가로 연장했는지 일체 공개하지 않았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상호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조속한 시일 안에 전반적인 대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블루코어시티 컨소시엄 측은 법률적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공모 지침에 맞게 사업을 제안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획득했으나 인천경제청의 땅값 및 개발이익금 환수에 대한 무리한 요구로 본계약에 이르지 못했다는 게 컨소시엄의 주장이다. 블루코어시티 컨소시엄 관계자는 “아직 공식적인 문서가 접수되지 않아 뭐라고 판단하기 어렵다”면서 “인천경제청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상실을 통보해 오면 소송 등 법률적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시의회는 송도 6·8공구 개발 사업에 대해 행정사무조사를 벌이기로 하고 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