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바른정당 '화합 러브샷' 불구…자강파 vs 통합파 충돌하나

김무성 "유승민 사당될까…주호영 체제가 낫다"

유승민은 "사즉생 각오" 글 올리며 자강파 결집

김무성 의원과 유승민 의원이 ‘화합의 러브샷’하는 모습까지 연출했지만 당 내부에선 새 지도부 구성을 놓고 첨예한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김무성 의원과 유승민 의원이 ‘화합의 러브샷’하는 모습까지 연출했지만 당 내부에선 새 지도부 구성을 놓고 첨예한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정당의 새 지도부 구성을 둘러싼 내부 갈등이 심상치 않다.

바른정당은 우선 “정기국회 중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개최는 어렵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상태다. 이혜훈 전 대표의 중도 낙마로 지도부가 공백 사태지만 당장 전당대회를 열기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내년 1월로 예상되는 전당대회 전까지 바른정당을 이끌 임시 지도부 구성을 놓고 ‘자강파’와 ‘통합파’의 입장은 갈리고 있다. 독자생존을 강조하는 자강파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보수진영과의 통합을 주장하는 통합파는 권한대행 체제를 주장하고 있다. 앞서 바른정당은 전날 개최한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당대회 전 비대위를 가동하고, 대선후보였던 유승민 의원이 비대위를 이끄는 방향으로 사실상 가닥을 잡은 상태였다.


하지만 회의 직후 전체 의원 20명 중 18명이 모인 만찬 자리에서 급제동이 걸렸다. 김무성 의원은 만찬의 끝에 “우리가 박근혜 사당(私黨)이 싫어서 나왔는데 유승민 사당으로 비칠까 우려스럽다”라고 했다. 또한 “주호영 대표 권한대행 체제로 가는 게 낫다”는 말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유승민 비대위 체제’에 반대한 것으로 알려진 김용태 의원은 1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많은 의원이 비대위 체제에 흔쾌히 동의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를 밀어붙이면 더 큰 분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시간을 갖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통합파는 ‘유승민 비대위 체제’가 꾸려질 경우 보수통합 논의가 지지부진해지며 내년 지방선거에 패할 것으로 예측한다.

반면 자강파는 ‘유승민 비대위 체제’를 지지하며 낡은 보수와 절연하겠다는 창당 정신을 앞세우고 있다. 유승민 의원은 실제로 페이스북에 “사즉생. 죽음의 계곡을 건너겠다”는 글을 올렸다. 이어 “정치적 합의가 충분히 이뤄지면 저도 (비대위원장직을 수용할) 각오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통합파 반발이 만만치 않아 유 의원이 당 간판을 맡는 ‘정치적 합의’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무성 의원과 유승민 의원이 ‘화합의 러브샷’하는 모습까지 연출했지만, 정작 새 지도부 구성을 놓고 내부에선 첨예한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당장 오는 13일로 예정된 국회의원·원외위원장 연석회의가 통합파와 자강파 간 정면충돌의 장이 될 수 있다. 향후 진로를 놓고 격돌이 불가피해 보이는 상황에서 이렇다 할 결론이 나지 않는다면 바른정당은 당분간 ‘주호영 권한대행 체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류승연 인턴기자 syryu@sedaily.com

류승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