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금한령’ 장기화…인천 크루즈 관광 침체

올해 인천 기항 크루즈 5년 만에 최저 수준 19척 입항

중국의 ‘금한령’이 장기화 되면서 인천 크루즈 관광시장이 침체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

14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올해 인천항을 찾은 크루즈선은 총 16척(항차)에 불과하다.


연말까지 입항할 예정인 5척 중에도 2척이 최근 북한의 잇따른 도발 이후 기항을 전격 취소했다.

이에 따라 올해 인천 기항 크루즈선은 총 19척, 관광객은 3만6,000여명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사드 보복이 노골화하기 전인 지난해 62척(관광객 16만4,800명)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고 2012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인천은 2014 아시안게임 개최를 전후해 2013년 95척(관광객 17만2,400명), 2014년 92척(18만3,900명), 2015년 53척(8만8,000명)의 크루즈선이 기항했다.

그러나 중국이 올해 3월 15일부터 자국민의 한국 단체관광을 금지한 이후 중국발 크루즈 20여척의 인천 기항이 무더기로 취소됐다.


항만·관광업계는 중국인 관광객을 대체하기 위한 시장 다변화에 나섰지만 역부족인 모습이다.

관련기사



크루즈 기항은 부두를 사전에 확보해야 하는 탓에 6개월∼1년 전 항만당국과 일정을 조율하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까지 나타난 내년 전망도 밝지 않다.

인천항만공사에 내년 인천 기항 의사를 밝힌 크루즈선은 중국발 5척을 포함해 총 28척이다.

중국의 ‘금한령’이 풀리지 않거나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가 또다시 불거질 경우 이마저도 유동적인 상황이다.

업계는 대만과 홍콩 등 대체시장 개척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시장 규모가 중국보다 작고 한국을 방문하는 크루즈 여행 코스가 제주·부산항 등 한반도 남쪽으로 한정될 가능성도 있다.

침체가 내년 이후 장기화 되면 세계 크루즈 시장을 겨냥해 관련 인프라 투자에 나선 당국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에 22만5,000톤급 초대형 크루즈 선이 입항할 수 있는 부두와 지상 2층, 연면적 7,364㎡의 크루즈 터미널을 내년 10월 준공을 목표로 짓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크루즈 시장이 성장을 지속하고 크루즈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큰 만큼 시장 다변화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