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내서 송이버섯 인공재배 성공…상업재배 가능성 높였다

국내서 송이버섯 인공재배 성공…상업재배 가능성 높였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송이 인공재배기술 개발을 위해 2001∼2004년에 심은 송이 균 감염 소나무 묘목(송이 감염 묘)에서 3개의 송이버섯이 난 것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발생은 같은 시험지에서 2010년 10월 1개의 송이가 난 데 이어 두 번째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송이버섯의 인공재배가 가능함을 세계 최초로 입증하는 결과로 평가된다.

송이 감염 묘를 이용하는 기술은 송이가 낫던 곳에 소나무 묘목을 심어 송이 균을 감염시킨 뒤 송이가 발생하지 않는 큰 소나무가 있는 산으로 다시 옮겨 심는 기술이다.

송이는 세계적으로 연간 2천∼4천t이 생산돼 4천억∼8천억원의 시장규모를 갖고 있으며 동양권에서 가을철 최고의 맛과 향을 가진 버섯으로 주목받지만, 생산량은 감소추세다. 이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에서 송이 인공재배 연구를 하고 있지만, 아직 성공한 사례가 없다.

지금까지 송이버섯 인공재배 성공에 가장 근접했던 것은 일본으로, 여러 시도 가운데 1983년 히로시마임업시험장에서 송이 감염 묘를 이용해 한 개의 버섯을 발생시킨 것이 전부다.


이후 일본에서는 같은 방법으로 1만 본가량의 송이 감염 묘를 만들었지만, 버섯 발생에 성공하지 못해 감염 묘를 이용한 방법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됐다.

관련기사



국립산림과학원은 2000년부터 송이 감염 묘 연구를 새롭게 추진하면서 과거 연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된 방법을 찾는 데 주력했다.

2001∼2004년 송이 시험지에 150본의 송이 감염 묘를 옮겨 심어 2006년 조사 당시 31본에서 송이 균이 생존한 것으로 확인됐다.

송이가 발생한 시험지는 홍천국유림관리소 관내로 42년 전 낙엽송 조림을 시작한 곳이었지만, 척박해 소나무 천연림이 형성된 곳이다.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가강현 박사는 “감염 묘를 이용한 인공재배기술은 간단한 방법으로 한번 송이 균이 정착해 버섯이 발생하면 30년 이상 송이 채취를 기대할 수 있다”며 “앞으로 상업적 재배가 가능한 수준으로 송이 발생률을 높이는 재배기술을 개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