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강경화-리용호 뉴욕서 재회할까

ARF서 조우 이후 핵 위기감 커져

회동일정 없지만 대화 여부 주목

강경화 외교부 장관강경화 외교부 장관




리용호 북한 외무상리용호 북한 외무상


18일(현지시간) 유엔 총회 개막을 앞두고 남북한 외교 수장이 미국 뉴욕에서 다시 한번 마주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지난달 6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잠시 조우한 후 북핵 문제가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에서 가장 큰 이슈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강 장관은 당시 리 외무상에게 정부의 남북대화 제의에 호응하라고 촉구했지만 이후 북한의 연이은 핵·미사일 등 무력 도발로 남북 관계에서 ‘대화’ 카드는 보류된 상황이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이 재차 만날 경우 어떤 대화가 오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8일 외교부 등에 따르면 강 장관과 리 외무상은 앞서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일정 중 환영 만찬 대기실에서 잠시 마주쳐 3분 정도 짧은 대화를 나눈 바 있다. 당시 강 장관은 “한국 새 정부의 ‘베를린 구상’과 후속조치 차원의 대북 제안에 북측이 아직 아무런 호응이 없다”고 지적했고 리 외무상은 “남측이 미국과 공조하에 대북 압박을 전개하는 상황에서 그러한 대북 제안에는 진정성이 결여돼 있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관련기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첫 남북한 외교 수장의 만남이었던 터라 당시 양자 만남은 큰 관심을 모았다. 하지만 두 사람의 짧은 조우 후 한반도 핵 위기감은 크게 고조된 상황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강 장관과 리 외무상이 별도로 회동하는 일정은 잡혀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유엔 본부’ 출신인 강 장관은 취임 후 처음으로 유엔을 방문한다. 강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 총회 일정을 보좌하는 동시에 문 대통령보다 하루 더 뉴욕에 머무르며 외교부 장관으로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 스케줄을 소화할 예정이다. 각국 외교장관과 별도 양자 회담은 물론 믹타(MIKTA) 외교장관회의에도 참석한다. 리 외무상은 오는 22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 나서고 유엔 사무총장과도 면담을 갖는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의 당위성을 강조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비판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