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학교폭력 70% 교내에서 발생…언어폭력 가장 많아

경기도에서 학교폭력은 교내에서 쉬는 시간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 폭력 가운데 언어폭력이 72%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경기도의 역할’ 보고서에 따르면 학교폭력의 발생장소는 교내가 7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내 외 장소는 10%를 넘지 않았다. 학교폭력은 쉬는 시간41%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다음으로 하교 시간 이후 16%, 점심시간 10%, 정규수업시간 8%, 하교시간 5%, 등교시간 2% 순이었다.


학교폭력 중 언어폭력이 72% 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집단따돌림, 신체폭행, 스토킹, 사이버괴롭힘, 금품갈취, 강제추행, 강제심부름 순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신체폭행이나 스토킹을, 여학생은 집단따돌림, 사이버괴롭힘을 주로 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학교폭력은 지난 2013년 4,928명, 2014년 5,342명, 2015년 5,131명으로 집계됐다. 가해학생 수는 지난 2013년에 3,465명, 2014년 4,107명, 2015년 4,198명으로 매년 늘었다. 특히 초등학생 가해학생 수는 지난 2013년 352명, 2014년 552명, 2015년 659명으로 늘어나고 있다. 고등학생 가해학생 수도 2013년 1,081명, 2014년 4,145명, 2015년 1,632명으로 늘었다.

오재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학교폭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며 “학교폭력의 초기대응은 학교폭력대책 자치위원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전문성이 없는 교사와 학부모로 위원회가 구성되다 보니 학교마다 서로 다른 조치가 내려져 일관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학교폭력 전문가로 구성된 제3의 기구를 만들어 가해자와 피해자의 재심을 일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학교폭력대책 자치위원회의 전문성 보완 및 재심기구 일원화를 제안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