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MB블랙리스트’ 관련 검찰 피해자 조사 본격 돌입

이우환, 김환균 MBC PD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檢‘, 盧 대통령 추모 사회 진행’ 김제동 소환 조율 중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공영방송을 장악하고자 프로듀서(PD), 기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블랙리스트’를 제작, 관리한 의혹이 드러난 가운데 검찰이 피해자 조사를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연합뉴스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공영방송을 장악하고자 프로듀서(PD), 기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블랙리스트’를 제작, 관리한 의혹이 드러난 가운데 검찰이 피해자 조사를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연합뉴스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공영방송을 장악하고자 프로듀서(PD), 기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블랙리스트’를 제작, 관리한 의혹이 드러난 가운데 검찰이 피해자 조사를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25일 서울중앙지검은 “26일 오후 2시 이우환 MBC PD, 27일 오후 2시 김환균 MBC PD를 각각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한다”고 밝혔다. 이 PD는 프로그램 제작을 두고 경영진과 마찰을 겪다 수차례 부당 전보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세월호 관련 다큐멘터리 제작을 두고 경영진과의 마찰을 겪은 후 2014년 신사업개발센터로 발령받아 스케이트장 관리 업무를 맡았다. 언론노조 위원장인 김 PD는 ‘PD수첩’ 팀장을 지냈지만 특별한 이유 없이 비제작 부서로 발령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검찰은 MBC 프로그램 ‘PD수첩’에 오랫동안 몸담았다가 해직된 최승호 전 PD를 26일 오전 10시 소환한다고 밝혔다. 정재홍 전 PD수첩 작가도 26일 오후 4시 검찰에 출석하기로 했다.


국정원 적폐청산TF 등에 따르면 원세훈 전 원장 시절 국정원은 방송사 간부와 프로그램 제작 일선 PD 등의 성향을 파악해 정부 비판 성향이 있다고 판단한 이들의 구체적인 인사 개입 방향을 담은 문건을 만들었다. 국정원이 2010년 6월 작성한 ‘KBS 조직개편 이후 인적 쇄신 추진방안’ 보고서는 “KBS가 6월 4일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곧바로 후속 인사에 착수할 계획인데, 면밀한 인사검증을 통해 부적격자를 퇴출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



2010년 2월 16일 원 전 원장이 ‘MBC 신임사장 취임을 계기로 근본적인 체질개선 추진’이라고 지시한 데 따라 국정원은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향’이라는 문건을 작성하기도 했다. 이 문건은 ▲ 노영(勞營)방송 잔재 청산 ▲ 고강도 인적 쇄신 ▲ 편파 프로그램 퇴출에 초점을 맞춰 근본적 체질개선 추진 등의 내용이 뼈대다.

국정원은 지난 14일 공영방송 장악 관련 문건을 검찰에 넘기고 수사를 의뢰했다. 검찰은 국정원 고위층과 방송사 경영진 또는 방송사 담당 정보관과 간부들 간에 부적절한 의사 교환이 있었는지, 국정원의 언론장악 계획이 실제 실행됐는지 등을 중점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한편 검찰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방송인 김제동씨의 소환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009년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노제 당시 사회를 맡았던 김씨는 당시 국정원이 관리한 블랙리스트에 오른 총 82명의 인사에 포함돼 방송 출연 제재와 퇴출 압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임우철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