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귀농·귀촌인 100명 중 7명만이 도시로 유턴

농진청, 역귀농?귀촌실태 조사 결과 발표…귀농·귀촌 1,039명 추적 조사

귀농·귀촌인 100명 가운데 7명 만이 도시로 다시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함께 구축한 귀농·귀촌 패널 1,039명을 대상으로 2014∼2016년까지 추적 조사해 ‘역 귀농·귀촌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귀농·귀촌인의 88.8%가 농촌에 정착 계속 사는 반면 6.8%만이 도시로 되돌아간 것으로 조사됐다. 도시로 간 이유로는 ‘영농실패(43.5%)’가 가장 많고, ‘일자리(17.4%)’, ‘자녀교육(13.0%)’, ‘건강(13.0%)’ 순으로 나타났다.


다른 농촌으로 이주하는 2차 귀농·귀촌 비율도 4.3%로 조사됐다. 이들은 품목 변경, 농지 주변으로 이사, 농지 획득 등 더 나은 영농여건을 찾아 이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40세 미만’의 젊은 귀농·귀촌인일수록 계속 거주(8.0%)나 도시로의 이주(5.4%)보다 다른 농촌으로의 이주(24.4%)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도시 출신’의 귀농·귀촌인일수록 농촌에 정착(39.5%)해 살기보다는 다른 농촌으로의 이주(63.6%)나 도시로의 이주(55.1%)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는 농촌 출신은 농촌 정서를 알고 부모의 영농 기반을 승계해 정착이 수월하지만 도시 출신은 그러지 못한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윤순덕 농진청 농촌환경자원과 연구관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역 귀농·귀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대상을 설정하고 영농여건 마련을 도울 수 있는 맞춤형 컨설팅이 제공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