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반기문 "북핵, 지금 가장 위험…일부 사드반대 집회 이해 안돼"

전경련 '북핵문제' 특별대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북핵문제, 어떻게 풀어야 하나’ 특별대담에서 권태신(왼쪽부터) 전경련 상근부회장,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 존 체임버스 전 S&P 국가신용등급 평가위원회 의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북핵문제, 어떻게 풀어야 하나’ 특별대담에서 권태신(왼쪽부터) 전경련 상근부회장,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 존 체임버스 전 S&P 국가신용등급 평가위원회 의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북핵 문제에 따른 한국 경제 리스크를 우려하며 “북핵 문제를 해결해야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바뀐다”고 강조했다.


허 회장은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북핵 문제, 어떻게 풀어야 하나: 전망과 대안’ 특별대담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이라는 브랜드는 우리 국민과 기업이 어렵게 쌓아 올린 가치 있는 브랜드인데 북한 리스크 때문에 충분한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특히 “기업인들이 요즘 북핵 문제 등으로 앞날을 예측하기가 더 어려워졌다”며 “북핵 사태로 기업 활동이 위축되고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을 외면한다면 우리 경제에도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10년간 유엔 사무총장을 하면서 북핵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지금처럼 위험한 수준까지 이른 적은 없었다”며 “6·25전쟁 이래 한반도에 많은 우여곡절과 위기가 있었지만 지금이 어느 때보다 가장 위험한 순간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반 전 총장은 이 같은 위기에도 일부 시민단체가 서울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반대 집회를 연 데 대해 강력히 비판했다.

그는 “이미 지나간 일로 계속 반대하면 한국을 지지하는 많은 우방국이 어떻게 보겠느냐”고 성토했다.

사드 4기를 추가 임시배치한 문재인 대통령의 결정에 대해 “대통령의 가장 큰 의무는 국민의 안위를 지키는 것으로 잘한 조치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대담에 참여한 존 체임버스 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국가신용등급 평가위원회 의장은 “북한 리스크를 빼면 한국의 신용등급에 대한 불안 요소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은 재정과 실물경제, 사회적 상황이 아주 탄탄하다”며 “금융 대외관계도 꾸준히 향상돼 지난해 여름 신용등급을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아웅산 테러나 칼(KAL)기 폭발, 연평도 포격 사건 때마다 북한은 벼랑 끝까지 갔지만 모두 철수했다. 지금 상황도 그때와 비슷하다”며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전쟁까지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