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트위터, 글자수 140자→280자로 제한 완화…한국어는 왜 제외?

"짧은 문장에 많은 의미 담을수 있어" 일본어·중국어도 빠져

같은 의미를 게시했을 때 영어와 스페인어, 일본어 길이 차이 /트위터 블로그 캡처같은 의미를 게시했을 때 영어와 스페인어, 일본어 길이 차이 /트위터 블로그 캡처




단문형 메시지 중심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위터가 오랜 시간 고수해 온 ‘140자 글자 수 제한’을 대폭 완화한다고 발표했다. 트위터는 26일(현지시간) 블로그를 통해 트위터에 게시물을 올릴 때 제한 글자 수를 기존 140자에서 280자로 늘리겠다며 현재 일부 이용자에 한해 시험 중이라고 밝혔다.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사용자가 시험 대상이며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는 제외됐다. 이는 한국어, 일본어 등이 영어와는 달리 짧은 문장으로 더 많은 의미를 담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트위터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트위터가 일본어와 영어로 작성한 트위터를 비교한 결과 140자를 꽉 채운 일본어 트윗은 0.4%에 불과하지만, 영어의 경우는 전체의 9%에 달했다. 대부분의 영어 트윗이 34자를 담고 있지만, 일본어는 15자 정도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알리자 로젠 트위터 제품 매니저는 “일본어, 한국어, 중국어는 다른 언어보다 두 배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잭 도시 트위터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트위터에 280자짜리 게시물을 올리며 자수 제한 완화에 환영의 목소리를 보냈다. 그는 “이는 작은 변화지만 우리로서는 큰 움직임”이라며 “(그간 제한 자수였던) 140자는 단문메시지(SMS)의 160자 제한에 기반을 둔 임의적인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2006년 개발된 트위터는 당시 광범위하게 사용하던 피처폰의 SMS 최대 길이인 160자에서 발신인 표시용 20자를 빼 140자를 최대 길이로 지정했다. 이후 140자 제한은 트위터의 정체성과도 같은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진과 영상 위주의 SNS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링크는 자수 제한에서 제외하겠다고 밝히는 등 변화를 꾀해왔다.

/손샛별인턴기자 setja@sedaily.com

손샛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