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단독)'스마트시티 수출 로드맵' 이르면 이달 나온다

文대통령, 첨단도시 해외 진출 지시

연내 수십조 성사될 듯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청와대 참모진과 정부 주요 부처에 “한국의 첨단도시 모델을 수출하라”는 특명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해외 정부, 기업과 합작으로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에 대규모 ‘스마트시티(정보통신기술과 첨단 도시설계 및 건축기법 등이 융합된 도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27일 청와대와 경제부처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등 4차 산업혁명 요소와 신도시 개발 노하우를 융합하는 스마트시티 건설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주문했다. 홍장표 경제수석비서관과 김수현 사회수석비서관 등이 주축이 돼 국토교통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수출입은행·LH공사와 함께 스마트시티 사업 해외 건설 추진과 국내 ‘견본 도시’ 건설정책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LH공사와 수은이 실무적인 사업추진의 주축이다. 수은에선 은성수 행장이 스마트시티 건설 해외수주 지원에 비상한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르면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 각 부처들 간 협의로 큰 틀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방향이나 로드맵이 잡힐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스마트시티 수출사업은 우리 정부가 유무상의 대외원조기금을 활용해 사업비 일부를 조달한 뒤 신흥국이나 저개발국과 공동사업으로 현지에 대규모 신도시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우선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라며 “그중 일부는 연내에 사업 윤곽이 잡힐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비 규모는 최대 수십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당국자는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에서 스마트시티를 짓는 사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스마트시티 수출사업은 최근 본격화됐다. 인도 뭄바이 지역에 두 곳의 신도시를 짓고 한 개 노선의 고속도로와 한 개의 대규모 역사를 짓는 사업이다. 7월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아룬 제틀리 인도 재무장관은 해당 사업을 위해 국가 간 협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인도에 총 100억달러 규모의 유무상 공적개발원조자금 등이 지원된다.

문 대통령은 이 같은 수출 모델이 될 만한 신도시를 국내에도 짓도록 주문한 상태다. 후보 부지는 미정이지만 ‘판교창조경제밸리’가 최적지라는 의견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송도신도시 역시 후보지 중 하나로 꼽힌다. 정부 당국에서도 이들 지역을 후보군으로 염두에 둔 것으로 전해졌다. 지방 후보군 가운데서는 자율주행자동차용 고속도로 등이 연결되는 세종시나 전남 에너지밸리 일대가 거론된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