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산학 협력 '친환경 자외선 차단제' 결실

대홍테크뉴 목재 부산물 활용 개발





대홍테크뉴가 산학협력을 통해 종이를 만들 때 나오는 목재 부산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물질(사진)을 개발했다.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는 27일 남재도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이 대홍테크뉴를 지원해 종이(펄프)를 만들 때 발생하는 부산물인 ‘리그닌’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대홍테크뉴는 앞으로 이 물질을 이용해 차외선 차단 필름과 코팅제, 화장품 원료 등을 생산하는 상용화 단계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다.

펄프 원료로 사용되는 목재는 셀룰로스와 리그닌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좋은 종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목재의 셀룰로스 성분만 활용되고 변색 등의 원인이 되는 리그닌 성분은 폐기된다. 리그닌은 연간 세계적으로 5,000만톤, 국내에서만도 72만톤이 폐기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자외선 차단 코팅제의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데다, 유해성분이 확인된 제품들은 판매가 금지되고 있어 새로운 시장 창출이 기대된다.

남 교수는 “기존 자외선 차단제는 석유 화합·추출을 통해 만들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초래했지만 리그닌은 100% 천연물질이어서 친환경적”이라며 “새로 개발한 소재는 97.5% 이상의 자외선 차단 성능을 갖췄고, 국제인증규격 천연물 바이오매스 인증도 완료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