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년 3월 광화문광장에 촛불 기념비 설립

촛불집회 주관 단체들 박 전 대통령 파면 1주년 맞아 제막

집회 참여 1,700만 시민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 인권상 수상

재단 “평화 집회의 자유 민주주의 필수요소 각인”

지난 3월1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탄핵 환영 촛불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폭죽을 쏘아 올리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3월1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탄핵 환영 촛불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폭죽을 쏘아 올리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전 대통령 퇴진 요구 촛불집회를 주관한 시민단체들이 내년 3월을 목표로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 촛불집회 기념비를 세운다.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16일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의 2017년 인권상 수상자 선정 발표 기자회견에서 “박 전 대통령 파면 1주년인 내년 3월 광화문에 촛불집회 기념비를 세울 예정”이라고 밝혔다.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은 박 전 대통령 퇴진 요구 촛불집회에 참여한 1,700만 시민을 올해 인권상 수상자로 선정했으면 퇴진행동이 시민들을 대신해 수상한다.


이들 단체는 박 전 대통령 파면 1주년을 맞는 내년 3월에는 광화문에 ‘촛불 시민혁명 기념비’를 제막할 계획이다. 정확한 위치나 형태, 새겨지는 글귀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퇴진행동은 1차 촛불집회 1주년(10월 29일)인 이달부터 내년 3월까지 기념 집회와 행사를 진행한다. 오는 28일 오후 6시 광화문광장에서는 ‘촛불 시민혁명 1주년 기념 촛불집회’를 연다. 집회 후에는 청와대 방면 행진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 내년 3월 촛불집회 백서를 발간할 예정으로 이에 앞서 오는 12월부터 내년 2월 사이에 각종 토론회를 개최된다.

관련기사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소장은 “촛불집회는 단순히 박근혜 정권을 끌어내리려고 진행된 게 아니었다”며 “시민사회가 요구했던 사회 대개혁 과제는 아직 상당 부분 진행 중으로 1주년 행사들은 이를 타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문걸(Sven Schwersensky) 에버트 재단 한국사무소장은 “민주적 참여권의 평화적 행사와 평화 집회의 자유는 생동하는 민주주의의 필수적 요소”라며 “대한민국의 촛불집회가 이 중요한 사실을 전 세계에 각인시켰다”고 시상 이유를 밝혔다. 독일에서 처음으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인 프리드리히 에버트의 뜻에 따라 지난 1925년 설립된 에버트 재단은 독일에서 가장 역사가 긴 정치 재단으로 꼽힌다. 이번 시상식은 12월 5일 베를린에서 열린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