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농·축협 보이스피싱 피해 5년간 1.4만건

733억 피해…환급은 338억 그쳐

예방 교육 담당직원 달랑 2명 뿐

박완주 의원 "제도적 보완 필요"

2115A14 최근 5년간 지역농축협




지역 농·축협의 계좌를 이용한 보이스피싱이 최근 5년간 1만4,383건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지역 농·축협의 점포 수는 4,693개로 해당 점포를 교육·지도하는 담당 직원은 단 2명에 불과해 보이스피싱 예방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협으로부터 제출받은 ‘보이스피싱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지역 농·축협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건수는 총 1만4,383건, 피해금액은 733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총 피해 건수의 68%인 9,902건에 대한 환급이 이뤄져 환금금액은 총 338억원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지역 농·축협의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지난 2015년(2,904건)부터 지속 증가해 올해도 8월 현재 2,731건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환급 금액은 줄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16년 환급된 총액 19억원은 피해금액 대비 12%에 불과하며 올해 환급액도 32억여원으로 피해금액 대비 17%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지역 농·축협에서 피해사례가 반복되고 있음에도 보이스피싱 예방을 지도하거나 교육하는 직원은 단 2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보이스피싱 피해가 지속되면서 상호금융의 예방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지역 농·축협 점포 수가 4,693개소이지만, 담당 직원이 2명에 불과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