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사람이 흘린 눈물로 전기를 만든다고?

아일랜드 연구팀, 눈물 속 단백질서 ‘피에조 효과’ 발견

사람이 흘린 눈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까? / 게티이미지뱅크사람이 흘린 눈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까? / 게티이미지뱅크


‘사람이 흘린 눈물로 전기를 만든다?’

아일랜드 연구팀이 사람의 눈물에 포함된 단백질에서 “피에조 효과(piezoelectric effect. 압전효과)”라고 불리는 현상을 확인했다는 논문을 미국 과학지에 발표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일(현지시간) 전했다.


피에조 효과는 물체에 압력을 가하면 약한 전기가 생기는 현상이다. 압력을 전기 불꽃으로 바꿔 가스에 불을 붙이는 라이터와 가스풍로 등 우리 생활주변에서 이용되고 있다. 수정이나 특수 세라믹 등 무기물에서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연구팀은 뼈 등 유기물에도 이런 현상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생물학 연구에 많이 이용되는 달걀 흰자위에서 나오는 라이소자임(lysozyme)이라는 단백질을 이용해 실험했다. 라이소자임은 세균의 세포막에 있는 다당류를 분해하는 효소다. 라이소자임은 눈물과 콧물, 우유 등에도 들어 있으며 인체에는 해를 끼치지 않는다.

이 단백질을 결정으로 만들어 필름 상태로 가공한 후 압력을 가하자 전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 약과 함께 체내에 집어넣어 미약한 힘을 전기로 바꿔 필요한 곳에 약을 보내는 펌프로 사용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