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조환익 사장 "동북아 슈퍼그리드 가능하다"

"경제성·기술적 타당성 입증돼"

내주 러 극동개발부 장관과 논의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 /사진=한국전력조환익 한국전력 사장. /사진=한국전력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은 지난 1일 한국·중국·일본은 물론 러시아까지 아우르는 동북아 슈퍼그리드(광역전력망) 사업에 대해 “자체 타당성 검토 결과 경제·기술적으로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조 사장은 이날 ‘2017 빛가람 국제전력기술 엑스포(BIXPO 2017)’가 열린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어 “최근 러시아 동방경제포럼에서 각국 정상들이 동북아 에너지 연계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했다. 한전도 이와 관련한 타당성 조사를 끝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9월7일 동방경제포럼 연설에서 러시아가 주도해 동북아 에너지 공동체를 만드는 개념의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 협의를 시작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한전은 한중일 광역전력망 구축과 관련해서는 이미 ‘가능하다’는 내부 결론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 사장은 “러시아와는 다음주 내한할 극동개발부 장관과 만나 슈퍼그리드와 관련한 부분을 논의할 것”이라며 “이 문제는 경제 문제를 넘어 동북아 긴장 완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이 부분에서 근본적 진전을 이루려면 정부 간의 협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영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21조원 규모의 무어사이드 원전 수출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일본 도시바의 지분을 인수해야 하는데 관련 절차가 필요하다”며 “도시바는 타임라인에 따라 빨리 움직이기를 바라고 있고 우리는 리스크를 따져 신중하게 접근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3회째를 맞은 국제전력기술 엑스포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과연 이런 행사가 되겠느냐는 생각도 있었지만 이제는 자신감을 갖게 됐다”며 “전력 분야에서 글로벌 최대의 컨벤션 행사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조 사장은 “한전이 과거처럼 시장을 독점하며 보호체제에서 계속 갈 수는 없다”며 ‘업(業)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전이 가진 큰 장점 중 하나는 데이터이고 기술력도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스마트시티 같은 분야를 미래동력으로 만들어갈 수 있다”고 확신했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