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은 부총재 “경기 개선에도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1%대”

윤면식 부총재 “낮은 물가수준 지속에 통화 정책 결정 어려워”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 /연합뉴스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 /연합뉴스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는 3일 국내 경기가 꾸준한 개선세를 보이고 있지만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근원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1%대 중반에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

윤 부총재는 이날 서울대에서 개최된 ‘한은-서울대 금융경제연구원’ 주최 국제 콘퍼런스에서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경기개선 추세에도 낮은 물가 수준이 지속됨에 따라 통화정책 완화기조 축소 시기와 속도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안착시키는 과제와 거시경제·금융시스템 안정화 도모 과제 사이에서 정책선택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경기가 살아나며 금융불안정에 대응할 필요가 있지만, 동시에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 미달하는 상황에서의 금리정책 운용이 어렵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불안정에는 금리를 올리고, 물가상승률이 낮으면 금리를 내려서 경기를 끌어올린다는 대응책들이 상충하는 모습이다.


최근 한국 경제는 올해 3%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물가상승률은 그에 맞게 상승하지 않고 있다. 즉, 경기가 개선되면 수요가 늘어나 물가가 상승한다는 공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윤 부총재는 이와 같은 경기와 물가간 상이한 변동행태의 원인을 찾으려는 논의가 활발하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대표적인 주장으로는 기업 간 경쟁심화와 노동시장 구조변화, 물가안정기조 정착으로 임금과 가격 결정에서 경기상황 반영 정도가 낮아졌다는 의견이 있다. 실업률이 떨어지면 임금이 오르고 물가상승률은 높아진다는 ‘필립스곡선’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플레를 낮추는 구조적 요인을 분석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기대물가 수준이 낮아지거나 유통혁신과 기술진보 등 공급충격이 가해지며 물가상승률이 구조적으로 낮아진다고 보는 시각이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