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개인연구에 8,130억원, 집단연구에 1,988억원을 투입한다는 내용의 ‘2018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을 6일 발표했다.
우선 신진연구자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해 신진연구자가 쓸 수 있는 기초 연구비 규모를 올해(1,482억원)보다 28.3% 늘어난 1,900억원으로 책정했다. 신진연구자는 만 39세 이하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지 7년 이내인 연구소 연구원 및 이공학 분야 대학교수다.
신진연구자가 연구실험실을 구축하도록 1년에 최대 2억원(연구비 포함)을 주는 525억원 규모의 ‘최초 혁신 실험실 사업’도 신설됐다.
대학 신규임용 전임교원을 위한 사업인 ‘생애 첫 연구’ 지원 대상은 종전 ‘만 39세 이하’에서 ‘만 39세 이하 또는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로 확대했다.
중견연구자 지원 예산도 올해(5,134억원)보다 10.6% 늘어난 5,678억원으로 책정됐다.
연구자들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개인연구에서 사업별 보고서 양식을 통일하고 항목을 줄이기로 했다. 집단연구에서도 연구계획서의 분량을 제한한다. ‘선도연구센터’의 경우 35쪽 이내, 기초연구실의 경우 15쪽 이내로 줄이도록 했다.
평가 방법으로는 기존 ‘성공’·‘실패’ 성과 판단 대신 ‘성실’·‘불성실’ 여부를 보기로 했다.
임신·육아 등으로 휴직할 때 연구 기간을 최대 1년 연장해줘 연구자의 경력단절을 막는 한편 연구비 3억원 이하의 개인 과제는 최종평가 절차를 없앤다.
이밖에 연구자가 주제를 직접 정하는 ‘자유공모 연구지원과제’ 예산도 늘려 올해 1조2,006억원에서 2022년 2조5,2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8일 광주(전남대 용봉문화관), 10일 서울(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관), 14일 부산(부산대 효원산학협동관), 16일 대전(한국연구재단 연구관) 등에서 설명회를 갖기로 했다. 내년 기초연구사업 신규 과제 공모 내용과 추진일정은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