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보수통합에 요동치는 정치지형]민주당 "정국주도권 뺏길라" 위기돌파 고심

"명분도 양심도 없는 이합집산" 비판

국민의당과 연대 적극 모색키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행정수도 개헌 국회 대토론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행정수도 개헌 국회 대토론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보수통합에서 촉발된 정계개편의 소용돌이에서는 한 발 비켜 있지만 야 3당 간 합종연횡이 끼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사실상 바른정당을 흡수하면서 원내 1당 자리까지 노리고 있는 자유한국당이 대여 투쟁 강도를 높여갈 경우 향후 정국운영의 주도권을 빼앗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인위적 통합을 통한 정계개편보다는 국민의당과의 적극적 연대를 모색하며 여소야대의 위기를 돌파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바른정당 분당 사태에 대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에 참가한 바른정당 일부 의원이 또다시 무원칙하게 한국당에 무릎 꿇고 돌아가려 한다”며 “어떤 명분도, 국민의 신의도, 양심도 없는 정치적으로 나 홀로 살고 보자는 이합집산”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추 대표는 한국당을 겨냥해 ‘독수독과(毒樹毒果·독이 있는 나무는 열매에도 독이 있다)’와 ‘부패의 온상’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비난 수위를 높였다.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을 대거 흡수하며 몸집을 불린 한국당을 부패 세력으로 규정함으로써 보수통합의 바람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민주당은 보수야당의 통합에 맞서 기존의 적폐청산 프레임을 유지하면서 과거 한 뿌리였던 국민의당과의 연대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바른정당 탈당파들을 흡수하며 민주당과의 의석수 차이를 5석까지 좁힌 한국당이 대여 투쟁 강도를 높이면 향후 국정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위기감이 작용하고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민주당은 인위적인 통합보다는 정책연대나 입법연대를 통해 국민의당과의 접점을 확대해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달 초 발의된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특별법’에는 민주당과 국민의당 의원들이 함께 이름을 올리며 양당 간 입법연대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 지난 3일에는 한국당을 제외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에 각 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정책위의장이 참석하는 연석회의를 제안하며 반(反)한국당 연대를 위한 시동을 걸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