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2017한국건축문화대상-우수상] 경북도청 신도시 홍보관

경북 안동·예천 전통마을 동선 담아

우주와 소통 나선형 공간 연출

건물 외부 강화유리섬유로 조성

경북도청 신도시 홍보관은 나선형의 형태와 FRP,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활용해 경상북도의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표현한 건축물이다.경북도청 신도시 홍보관은 나선형의 형태와 FRP,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활용해 경상북도의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표현한 건축물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지난 2016년 12월 개관한 경북도청 신도시 홍보관은 특이한 외형과 소재가 눈에 띄는 건축물이다. 설계자는 안동의 하회마을과 예천의 회룡포가 마을을 감싸 돌아 집들이 유기적으로 이어져 있는 전통마을의 동선을 형상화했다. 이와 함께 고유의 삼재사상(天地人)을 바탕으로 사각의 대지 위에서 우주와 소통하는 나선형 공간으로 하늘을 비상하는 경북신도시의 과거와 미래를 연출했다. 건물 외부에 사용된 FRP(강화유리섬유)와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역시 경상북도의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요소다.

외부 나선형 공간에는 로비와 전시시설, 전망대가 있고 내부 나선형 공간에는 영상관, 휴게실, 분양사무실, 임대용 사무공간이 있다. 중심부에는 카페테리아, 매점, 식당이 들어서 있다. 경상북도 및 신도시를 홍보하는 공간이자 시민들의 쉼터 역할을 하도록 설계됐다. 신도시 개발이 종료되는 10년 후에는 상가로 분양돼 문화, 자연, 경제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될 예정이다.



건축물의 나선형 구조는 기능적인 전시 동선으로 활용돼 내부를 한 바퀴 돌아 관람 후 외부 전시공간을 다시 돌고 옥상 전망대에서부터 사무공간 및 카페테리아, 식당 등으로 연결돼 지상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러한 동선을 통해 방문자는 경북도청 신도시의 발전상을 입체적으로 관람할 수 있다.


곡면의 비정형 건축물을 설계하는 작업은 외형만큼 난해한 과정이었다. 설계자인 박기우 비정형건축설계연구소장은 “빛에 따라 달라지는 패턴 없는 FRP의 질감은 상상하기가 어려웠다”며 “재료와 질감의 선택이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어려운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박 소장은 실시 설계 단계에서 BIM(빌딩 정보 모델링)을 활용해 건축물의 골조, 외장 시공을 위한 기본 제작도면을 만들었다. 또한 FRP를 같은 타입의 형틀에서 찍어내고 가장자리 조각들은 따로 붙이는 방식으로 다른 형태의 패널을 제작했다. FRP패널 사이에는 완충공간 역할을 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창이 사용됐다. 건축물이 유기적 생명체로 느껴질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된 FRP패널과 골조 등 소재들은 모두 광택 마감을 해 역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신정철 심사위원장은 “3차원의 비정형 공간에 대한 설계 기술과 건축 과정의 기술적 해결에 대한 설계자의 의지가 높이 평가되는 건축물”이라며 “새로운 재료를 활용해 외관을 형성하는 건축자재의 지평을 넓히는 등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