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1997 환란 그후 20년-정덕구 이사장은] IMF협상 대표 맡아...구조조정 경험 바탕 '환란 징비록' 출간

“원한 맺힌 마음에 잘못 생각해/ 돌이킬 수 없는 죄 저질러 놓고 / 흐느끼면서 울어도 때는 늦으리.”

정덕구 니어재단 이사장은 서울경제신문과의 외환위기 20년 인터뷰 도중 당시를 회고하며 가수 문주란의 ‘동숙의 노래’ 한 구절을 소개했다.


외환위기 당시 국제금융기구(IMF) 협상 수석대표를 맡아 타결하면서 영웅 대접을 받기도 했지만 외환위기를 일으킨 주범이라는 비판도 함께 받았던 자신의 심정을 대변한 노래라고 했다.

관련기사



지난 1997년 12월3일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한 미셸 캉드쉬(앞줄 왼쪽)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를 맞이하는 정덕구(〃 오른쪽) 당시 재경원 제2차관보의 모습. 뒤쪽 왼쪽으로 강만수 당시 재경원 차관의 모습도 보인다. /연합뉴스지난 1997년 12월3일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한 미셸 캉드쉬(앞줄 왼쪽)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를 맞이하는 정덕구(〃 오른쪽) 당시 재경원 제2차관보의 모습. 뒤쪽 왼쪽으로 강만수 당시 재경원 차관의 모습도 보인다. /연합뉴스


재정경제부 차관, 산업자원부 장관 등 경제 관료를 역임한 정덕구 니어재단 이사장은 우리 경제가 나락으로 빠진 외환위기 초기부터 협상 및 극복에 이르는 과정을 온몸으로 겪었다. 당시에 IMF 측 협상단이 내건 요구조건이 우리가 실행하기 어려운 것들뿐이어서 “벼랑 끝에 매달린 나한테 와서 구해줄 테니 그 대신 너의 아름다운 부인을 나에게 달라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며 설득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지난 2008년 외환위기 10년을 맞아서는 ‘외환위기 징비록-역사는 반복되는가’라는 책을 출간하기도 했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 경제의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하며 배가 갈라진 경제의 내부를 들여다본 경험이 고스란히 들어 있다. 환란을 가장 가까이에서 본 본인만이 쓸 수 있다며 고심 끝에 써내려갔다고 한다. 정 이사장은 위환위기 20년을 맞아 니어재단을 통해 ‘한국경제 생태계 보고서’도 조만간 발간한다. 2015년 이후 13인의 한국 대표 경제학자들과 함께 연구해 만든 결과물이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