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절반 "항생제, 감기치료에 효과적" 잘못 인식…오남용 문제 심각

의사 조언에 따라 복용하고 남은 항생제는 처분해야

보건복지부는 항생제 오남용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보건복지부는 항생제 오남용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항생제 복용은 감기 치료와 별다른 상관이 없다. 하지만 국민 절반 이상은 항생제 복용이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오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4일 서울 더 리버사이드 호텔에서 제1회 항생제 내성 예방주간 행사를 통해 일반 국민과 의사의 항생제 내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항생제 복용이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사람이 56.4%를 기록했다. ‘항생제 복용 기간 중 증상이 좋아지면 처방된 항생제를 임의로 중단해도 된다’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은 67.5%였다. 심지어 ‘열이 날 때 의사에게 진료받지 않고 집에 보관해 둔 항생제를 임의로 먹은 적이 있다’는 사람은 18.5%로 집계됐다.


대한의학회에 따르면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생명을 막는 물질인 항생제는 감기 치료를 위해서가 아니라 바이러스로 생성된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처방된다. 항생제는 의사·약사의 조언에 따라 복용하는 게 원칙이며 남은 항생제는 처분하는 게 바람직하다.

관련기사



이번 조사에서 의사들은 국내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복지부가 지난 6월 대한의사협회 종합학술대회에 참석한 의사 8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항생제 내성 문제에 대해 평균 점수가 7.45점(10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이 문항에서 0점은 ‘전혀 심각하지 않다’, 10점은 ‘매우 심각하다’였다.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은 환자에게도 항생제를 처방하는 이유는 ‘환자 상태가 악화할 것이 걱정돼서’(45.9%), ‘환자의 요구 때문에’(36.1%), ‘환자에게 설명할 시간이 부족해서’(5.9%), ‘추적 관찰 필요하거나, 환자가 다시 내원하지 않을 것 같아서’(5.9%) 순으로 집계됐다.

복지부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통해 2015년 대비 2020년까지 항생제 사용량을 20% 감축해 항생제 오남용에 대처할 계획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본부장은 “관계 부처와 함께 국가 차원의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추진으로 국민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항생제 오남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 실천수칙을 반드시 지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