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기부의 품격' 보여준 게이츠·저커버그 부부

게이츠, 개인 자산 1억弗 출연

알츠하이머병 퇴치 위해 투자

저커버그 부부, 저소득층 학생 위해

하버드대에 장학금 1,210만弗 쾌척





마크 저커버그와 부인 프리실라 챈마크 저커버그와 부인 프리실라 챈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와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가 또다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했다.

게이츠가 자신의 블로그에서 알츠하이머병 퇴치를 위해 1억달러(약 1,118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고 AP·AFP통신과 NBC뉴스 등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게이츠는 “우리의 인생 후반부를 괴롭히는 질병 중에서도 특히 사회에 큰 위협이 되는 병”이라며 치매와 관련해 혁신적인 연구를 지원하는 치매발견기금(DDF)에 5,000만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미 자신과 아내의 이름을 딴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을 통해 각종 자선활동에 앞장선 게이츠는 이 금액을 재단이 아닌 개인 재산에서 출연한다고 덧붙였다. 나머지 5,000만달러는 추후 관련 연구를 하는 스타트업에 투자한다. 게이츠는 ‘주류에서 벗어난(less mainstream)’ 연구를 하는 스타트업을 지원하겠다고 했으나 정확한 기업명은 밝히지 않았다.


부친이 곧 아흔두 번째 생일을 맞는다고 밝힌 게이츠는 “80대 중반이 되면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확률이 50% 가까이 된다. 그런데도 미국에서 의미 있는 치료 방법 없이 사망에 이르는 10대 질병의 하나이며 발병률은 날로 높아진다”며 기부를 결심한 배경을 밝혔다.

관련기사



게이츠의 가족력도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게이츠는 블로그에 “우리 가족 중 여러 명이 알츠하이머병을 앓아 내가 잘 아는 문제이기도 하다”며 “이 병으로 사랑하는 사람의 정신적 능력이 떨어져 분투하는 모습을 보는 것은 끔찍하다. 이것은 마치 아는 사람의 점진적 죽음을 대신 경험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알츠하이머병으로 가족이나 국가의 보건 시스템이 부담해야 할 막대한 비용에 놀라 이 문제에 관심을 두게 됐다”며 “만약 60대나 70대에 앓게 된다면 수십 년간 비싼 치료를 받아야 할지 모르며 큰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는 한 앞으로 보건 예산에 더욱 큰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과학의 혁신으로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처럼 사망이 확실시되던 질병도 만성 질환으로 바뀐 것처럼 알츠하이머병도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며 “그런 날이 온다면 우리 재단이 가난한 국가에도 보급할 방안을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와 프리실라 챈 부부도 모교인 하버드대에 장학금으로 1,210만달러(약 135억원)를 쾌척했다.

하버드대는 이날 저커버그 부부가 설립한 재단인 ‘챈 저커버그 이니셔티브’가 공공 분야 쪽에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장학 프로그램인 ‘스트라이드 장학금 프로그램’에 1,210만달러를 기부해 15년간 2,300명의 학생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이에 따라 장학금 프로그램의 이름을 ‘프리실라 챈 스트라이드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바꾸기로 했다. 2007년 하버드대를 졸업한 챈은 재학 시절 이 장학금을 받고 보스턴에서 방과 후 프로그램 활동을 한 적이 있다. 챈은 이번 기부로 학생들이 ‘서비스 영역을 선택할 능력’을 갖기 바란다고 밝혔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