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7년 만에 처음, 직업계고 졸업생 취엽율 50%대 회복 '특성화고-마이스터고-직업반' 기준

직업계고 졸업생 취업률이 17년 만에 50%대를 회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2017년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률을 조사한 결과 50.6%로 전년(47.2%)보다 3.4%포인트 높아졌다고 20일 발표했다.


이번 취업률은 올해 2월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반(옛 종합고 전문반)을 졸업한 학생들의 취업 현황을 4월 1일 기준으로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률이 50%를 넘은 것은 2000년(51.4%) 이후 17년 만에 처음있는 일.

취업률은 2009년 16.7%로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8년 연속해서 올랐다. 고졸 취업문화가 꾸준히 확산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교육부는 전했다.

취업률이 높아지면서 진학률(32.5%)은 전년(34.2%) 대비 1.7%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학교 유형별로 살펴보면 마이스터고 취업률은 93.0%, 특성화고는 50.8%, 일반고 직업반은 22.4%로 확인됐다.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의 취업률은 전년(90.3%·47.0%) 대비 각 2.7%포인트와 3.8%포인트 높아진 데 비해 일반고 직업반 취업률은 전년(23.6%) 대비 1.2%포인트 떨어졌다.

관련기사



마이스터고는 첫 졸업생을 배출한 2013년 이후로 취업률이 계속 90% 이상을 보였다.

특성화고 역시 선취업 후진학 정책 등 정부의 지속적인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 덕에 취업률이 높아졌다고 교육부는 분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일반고 직업반의 경우 대학 진학을 고려하는 학생들이 많은 일반고 안에 직업계 학과가 설치된 점, 대부분 중소도시에 소재한 점 등이 취업률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교육부는 판단했다.

실제로 직업반을 둔 일반고는 특별·광역시에 4곳(4.7%)뿐이고, 도 단위 지역에 81곳(95.3%)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는 앞으로도 학생들이 학교에서 익힌 실력을 직업 세계에서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할 방침이다.

한편 홍민식 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장은 “고졸 취업 활성화를 위해 관계부처 및 산업계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양질의 고졸 일자리를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