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부작용 해결 길 활짝…毛자라신 분, 봄날 오나

최강열 연세대 교수팀

'모낭 재생'시키는 물질 개발

"피부조직 손상 치료제에 기여"

최강열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최강열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





국내 연구진이 탈모 치료제 후보 물질을 개발, 동물 실험에서 발모 효과를 확인해 주목을 끌고 있다. 기존 치료제가 이미 탈모가 진전된 경우 효능이 없고 남성호르몬을 억제하는 약물을 동시에 써 부작용이 있는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관련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강열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이 모발 생성을 막는 원인 단백질을 찾아 탈모 치료제 후보 물질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진은 탈모가 진행되는 두피 조직에 유독 ‘CXXC5’라는 단백질의 양이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단백질은 모발 형성과 상처 치유 등의 역할을 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계를 구성하는 핵심 인자다.

연구진은 사람 모낭 세포를 연구해 이 단백질이 다른 단백질과 결합해 모발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한 뒤 두 단백질의 결합을 막는 생화학물질 ‘PTD-DBM’을 제작해 쥐에 실험해 효과를 검증했다. 털이 없는 부분에 28일간 PTD-DBM를 발라주자 모낭이 건강해지며 털이 다시 난 것이다. 윈트신호전달계를 활성화하는 화학물질인 ‘발프로산’(VPA·valproic acid)을 함께 바르면 발모 효과가 더 높아졌다. 교신저자인 최 교수는 “동물을 대상으로 이 후보 약물에 독성이 있는지 시험한 뒤 추후 임상실험을 거쳐야 상업화가 될 수 있다”며 “탈모 치료는 물론 피부조직의 손상까지 재생하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달 20일 피부과학 분야 국제학술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에 실렸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