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초생활보장급여' 부정수급 실태 심각…'억대 자산가'도 포함

권익위, 이달 30일까지 정부보조금 부정수급 및 사학비리 집중신고 기간

소득 사실을 숨긴 채 ‘기초생활보장급여’를 부정수급한 다수가 적발됐다./연합뉴스소득 사실을 숨긴 채 ‘기초생활보장급여’를 부정수급한 다수가 적발됐다./연합뉴스


월급을 현금으로 받은 뒤 소득이 없다고 거짓말한 사람부터 억대의 재산을 차명 보유한 사람, 사채놀이로 고액의 이자수익을 챙긴 사람까지, 기초생활보장급여 부정수급 사례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1일 최근 4년여간 복지·보조금 부정신고센터에 접수된 기초생활보장급여 부정수급 신고 건수 216건 중 147건을 수사기관 또는 감독기관에 이첩·송부했으며 12억5,400만 원이 환수됐다고 밝혔다.

50대 A씨는 2015년부터 월급을 매월 현금으로 직접 수령하는 수법으로 관계기관에 소득 사실을 숨긴 채 기초생활보장급여 1,240만 원을 부정수급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B씨는 2013∼2015년 사채 사무실을 운영하며 돈을 빌려주고 총 1억 원의 이자소득이 있었는데도 이 사실을 숨긴 채 기초생활보장 급여 3,540만 원을 받아 챙겼다.

관련기사



전남에 거주하는 50대 여성 C씨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자신의 소득을 숨기고 재산을 차명으로 관리해 기초생활보장급여 7,240만 원을 부정으로 수급했다. C씨는 사실혼 관계의 남편으로부터 부양을 받았고 2014년께 사실혼 파기에 따른 위자료 7,900만 원을 받았지만 그 사실을 숨겼다. 자가용도 딸과 지인 명의를 빌려 차명으로 소유했다.

권익위는 지난 9월 1일부터 이달 30일까지 정부보조금 부정수급 및 사학비리에 대해 집중신고 기간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기초생활보장급여 신고사건 수십 건을 조사 중이다. 권익위 관계자는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기초생활보장급여가 엉뚱한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 재정 누수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