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무가베 탄핵안 이르면 22일 표결

하야 발표 최후통첩 시한 넘겨

짐바브웨 아프리카민족동맹애국전선(ZANU-PF) 소속 의원들이 20일(현지시간) 수도 하라레의 당사에 모여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 탄핵절차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하라레=AFP연합뉴스짐바브웨 아프리카민족동맹애국전선(ZANU-PF) 소속 의원들이 20일(현지시간) 수도 하라레의 당사에 모여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 탄핵절차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하라레=AFP연합뉴스




군부 쿠데타로 실각한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대통령에 대한 탄핵표결이 이르면 22일(현지시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유력한 차기 대통령 후보로 꼽히는 에머슨 음난가그와 전 부통령이 완전한 신변보호가 이뤄지기 전까지 짐바브웨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밝혀 정권 이양이 지체될 가능성이 커졌다.


20일 AP통신은 무가베 대통령이 집권당인 짐바브웨 아프리카민족동맹애국전선(ZANU-PF)에서 탄핵절차 개시 시점으로 못 박은 이날 정오까지 하야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자 ZANU-PF가 비상 회의를 열어 탄핵 논의를 개시했다고 보도했다. 회의 후 폴 망과나 ZANU-PF 부사무총장은 “21일 탄핵절차에 착수해 사안을 조사할 수 있는 의회 위원회를 구성하고 22일 표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다만 집권당 일부 의원들은 탄핵에 앞서 무가베 대통령이 위원회에 출석해 최후변론을 할 기회를 줘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아 탄핵표결이 이뤄지는 데 수 주가 걸릴 수도 있다. 짐바브웨에서 대통령을 탄핵하려면 상하원에서 3분의2 이상의 찬성표를 받아야 한다.

짐바브웨 국민들의 시선이 차기 권력으로 쏠린 가운데 가장 유력한 후보인 음난가그와 전 부통령의 귀국이 늦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음난가그와 전 부통령은 21일 성명을 발표해 “아직 짐바브웨에 들어오지 않았다. 안전이 만족할 수준에 이르기 전까지 돌아가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쿠데타를 일으킨 콘스탄티노 치웬가 군사령관과의 정권 이양 협상도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