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시 “도시재생사업, 부동산 투기와 연관성 약해”

도시재생사업지역, 서울 평균 주택 값 증가율 비교

정부 도시재생뉴딜 지원에 서울 지역 포함 요구

“저층주거지 환경 개선으로 강남 아파트 수요 분산”

서울시가 도시재생사업과 부동산 투기 간 연관성이 매우 약하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정부가 ‘8·2부동산대책’에서 부동산 투기 발생 가능성을 이유로 서울 전체를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 결정을 반박하면서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원 대상에 다시 서울 지역을 포함시킬 것을 공식적으로 요구한 것이다.

서울시는 2015년 1월부터 8·2 대책 발표 직전인 2017년 7월까지 도시재생활성화 사업구역으로 지정된 13개 지역 중 주택 거래가 적은 3곳(창동상계, 장안평, 세운상가 등)을 제외한 9개 지역(서울역, 창신숭인, 가리봉, 상도, 성수, 신촌, 암사, 장위, 해방촌 등)의 주택 유형별 평균 매매가격 증가율은 △단독·다가구 7% △다세대·연립 7% △아파트 8%로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 주택 유형별 평균 매매가격 증가율은 모두 8%로 도시재생활성화 사업구역과 별 차이가 없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 재건축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 증가율은 12.4%로 집계됐다. 서울시 토지관리과가 관리하는 주택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또한 도시재생활성화사업 구역의 주택가격 증가율은 그 구역이 속한 자치구의 전체 주택매매가격 증가율과 유사하고 일부 주택 유형은 오히려 해당 자치구 평균보다 낮다는 게 서울시의 주장이다.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인 해방촌 지역의 경우 단독·다가구 매매가격 증가율은 12.4%로 용산구 평균 14.0%와 비슷하고 다세대·연립은 4.2%로 용산구 평균 8.5%보다 낮고 아파트 역시 6.2%로 용산구 평균 8.2%보다 낮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도시재생활성화 사업구역 중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 성수, 신촌의 일부 주택 유형의 매매가격 증가율과 ㎡당 시세는 해당 자치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 따르면 창신숭인과 가리봉, 장위 지역의 경우 정비사업 구역 지정 해제에 따라 주택 신축이 증가한 결과다. 성수동 일대는 분당선 연장에 따른 강남권 수요 흡수, 주변 지역의 명소화 및 고가주상복합 신규 건설 등의 영향이 있었고 신촌 지역은 시세가 높은 신축 도시형생활주택의 거래가 본격적으로 시작돼 일시적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이들 지역의 매매가격 증가는 모두 도시재생사업과는 무관하다는 게 서울시의 주장이다.

강남4구 재건축 아파트의 높은 매매가격 증가율의 원인으로는 강남권 아파트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꼽으면서 도시재생사업보다는 재건축 등 정비사업이 주택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서울에서 여전히 강남 아파트에 대한 높은 수요가 나타나고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아파트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저층주거지 환경개선을 통해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를 분산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도시재생사업과 관련해 부동산 투기가 우려되는 지역은 모니터링 등을 통해 사전에 감지하고 투기를 예방하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