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5명 중 1명은 실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한 박사 4명 중 1명은 구직활동을 했어도 직장을 구하지 못했다. 이는 2014년 첫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17년 국내 신규 박사 학위취득자조사 결과 올해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들 중 미취업자는 22.9%에 달했다. 미취업자의 비율은 첫 조사인 2014년 21.3%에서 2015년 20.3%, 2016년 21.6%를 기록해 조사 이래 올해 가장 높았다.
올해 기준 조사 당시 취업 중인 박사는 43.4%였고, 취업확정은 30.9%였다.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박사도 2.8%에 달했다. 이 조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조사연도 2월과 전년 8월 국내 200여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다.
올해 응답자는 전체 취득자의 약 70% 수준인 9,050명이었다. 성별로 나눠보면 여성의 미취업률이 남성보다 높았다. 미취업 남성 박사의 비율은 21.2%였지만, 미취업 여성 박사는 25.9%였다.
미취업자의 비중은 나이가 젊을수록 높았다. 30세 미만의 미취업은 35.4%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어 30∼34세 32.9%, 35∼39세 26.2%, 40∼44세 14.3%, 45∼49세 11.6%, 50세 이상 12.9%였다.
전공 계열 미취업 비율을 보면 다소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자연과 공학계열의 미취업률이 예체능이나 사회계열을 앞질렀다. 이공계열 출신이 취업이 잘 된다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다른 결과가 나온 것이다. 가장 미취업자의 비율이 높은 계열은 자연계열로 전체 박사학위 취득자의 29.7%였다. 이어 인문(28.4%), 공학(26.1%), 예술·체육(22.3%), 교육·사범(20.6%), 사회(18.3%), 의약(11.8%) 순이었다.
학위 취득 대학의 소재지별로 보면 수도권 박사가 비수도권 박사보다 취업 형편이 어려웠다. 수도권 박사의 미취업률은 24.1%로, 비수도권 박사 21.5%보다 높았다.
/손샛별인턴기자 setj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