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문화재청, 유네스코 심사위원 선정 과정에서 NGO 배제 의혹

무형문화연구원 "문화재청, 산하기관인 한국문화재재단으로 후보를 바꿔치기 했다"

문화재청 "무형문화연구원의 회신 실수로 인한 것"

유네스코 인류유형문화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심사위원의 후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문화재청과 비정부기구(NGO) 사이의 갈등이 촉발되고 있다.

‘한국 유네스코 인가 NGO협의회(협의회)’는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재청이 심사위원 후보 결정 과정에서 아무런 통보 없이 유력 후보였던 무형문화연구원을 배제하고 산하 기관 한국문화재재단으로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문화재청은 “무형문화연구원이 회신을 잘못해 후보 자격을 잃었다”고 맞섰다.

다음달 제주도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 총회에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심사위원 선거가 치러진다. 이번 회의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몫으로 된 NGO 심사위원 한 자리를 선출한다. 문화재청은 지난달 9일까지 후보 등록을 받았고 최근 한국문화재재단을 낙점했다.


협의회는 “그간 무형문화연구원이 유력 후보로 지목돼 왔는데, 결과가 갑자기 뒤집혔다”며 “12명의 인류무형문화유산 심사위원 구성원 중 절반을 NGO에서 선출하는 것은 시민사회의 역량을 반영하겠다는 뜻인데, 정부 산하기관인 한국문화재재단은 이 취지에도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은 수년 전부터 12명의 인류무형문화유산 심사위원 중 6명은 정부 소속 전문가 집단에서 나머지 6명은 유네스코 인가 NGO 중에서 지역별로 선출하고 있다.

관련기사



무형문화유산원 관계자는 “무형문화유산원은 유네스코 인가 NGO가 아니라 후보에서 배제했다”는 문화재청의 해명에 “무형문화연구원 정관에 버젓이 인가 NGO인 무형문화연구소를 계승한다고 돼 있고, 이를 문화재청이 승인했다”며 “유네스코에 제출한 서류에도 무형문화연구소로 명시했다”고 반발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인류무형유산 심사위원을 문화재청이 산하기관을 통해 자신들의 영향력 아래 두려고 교체한 것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에 대해 “선정 이전 무형문화연구소에 무형문화유산원과 같은 연구소가 맞는지 확인하는 공문을 보냈는데 ‘같은 기관이지만 영역은 별개’라 회신해 후보 자격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무형문화연구소는 “그린피스의 예처럼 NGO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단체를 구성하지만 사실상 같은 단체”라 밝혔다. 이어 “이번 제주 회의에서 이런 사실을 알릴 것”이라 강조했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