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휴가 중인 문 대통령, 한중 정상회담·예산국회·인사 구상 몰두

넉 달만에 27일 하루 연가

내달 중순 방중…교류 정상화 구체화, 시진핑 사드 언급 여부 관심

연말국회 ‘일자리 예산’ 확보 관건…‘공수처’ 야당 협조 견인 숙제

첫 조각 마무리 직후 정무수석·감사원장 공백 발생…인선 ‘숙고’

지난 8월 휴가를 보내던 문재인 대통령이 오대산 상원사길에서 만난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청와대지난 8월 휴가를 보내던 문재인 대통령이 오대산 상원사길에서 만난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하루 연차휴가를 냈다. 청와대는 넉 달 만의 휴가로 쉬는 게 목적이라고 밝혔지만 산적한 현안 탓에 정국 구상을 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중국 국빈 방문이 눈 앞에 놓인 과제다. 10·31 합의에 이은 시진핑 국가주석, 리커창 총리와의 회담으로 한중관계 정상화의 물꼬를 튼 문 대통령은 이번 방중을 계기로 본격적인 관계회복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관건은 ‘봉인’하기로 했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이견을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이 제기할 것인지 여부다. 청와대는 10·31 합의에서 이 문제를 재론하지 않기로 했다고 했지만 아세안 정상회동에서 중국은 이 문제를 거듭 제기했다. 지난 22일 중국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도 왕이 외교부장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적절한 처리를 촉구했다. 다음 달 정상회담에서 다시 사드 문제가 거론되면 양국 사드 앙금은 ‘현재진행형’으로서 한중 관계도 불안한 협력을 지속하게 될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도 예산, 세법개정안도 관심사다. 처리 시한이 닷새 앞(12월 2일)으로 다가왔지만 공무원 증원, 최저임금 인상분 지원(3조원) 등을 놓고 여야간 대치가 첨예하다. 문 대통령은 원만한 예산안 처리를 위해 대(對)국회 소통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그간 공들여 온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을 위해 야당의 협조를 끌어내야 하는 과제도 간과할 수 없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의 당론반대를 설득과 압박으로 정면돌파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관련기사



인선 작업을 마무리 짓는 것도 휴가 구상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 21일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임명하는 것으로 195일 만에 비로소 조각을 마무리했지만, 전병헌 전 수석의 하차로 공석이 된 청와대 정무수석과 감사원장에 대한 인선이 한창인 터라 문 대통령은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청와대의 대야관계 컨트롤타워인 정무수석에 대한 인선이 하루속히 이뤄져야 연말 국회 현안을 비롯해 여야정 국정협의체에 대한 논의도 다시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임자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