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원격 초음파 진단 의료로봇 나온다

기계연 진단시스템 '래디어스' 개발

인터넷망으로 질환 실시간 파악

이르면 2년 후 상용화 할 듯

서준호(오른쪽) 한국기계연구원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박사팀이 원격 의료영상 진단 시스템인 ‘래디어스(RADIUS)’를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기계연구원서준호(오른쪽) 한국기계연구원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박사팀이 원격 의료영상 진단 시스템인 ‘래디어스(RADIUS)’를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기계연구원




섬과 산간오지, 군부대, 원양어선 등 의료 인프라 취약 지역에서 인터넷망만 연결되면 원격으로 의사가 초음파 영상진료를 볼 수 있게 하는 의료로봇 시스템이 개발돼 2~3년 내 상용화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서준호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박사팀이 원격 의료영상 진단 시스템인 ‘RADIUS(래디어스)’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기계연은 울릉보건의료원, 삼성서울병원, 욱성미디어 등과 시험해 실시간으로 간이나 담낭·자궁·근육 등에 생긴 질환을 진단하는 초음파 영상을 로봇을 통해 제어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관련기사



한국기계연구원이 개발한 원격 의료영상 진단 시스템 ‘RADIUS’. 왼쪽 화면안의 로봇이 ‘마스터 로봇’이고 오른쪽이 ‘슬레이브 로봇’이다. /사진제공=한국기계연구원한국기계연구원이 개발한 원격 의료영상 진단 시스템 ‘RADIUS’. 왼쪽 화면안의 로봇이 ‘마스터 로봇’이고 오른쪽이 ‘슬레이브 로봇’이다. /사진제공=한국기계연구원


작동원리는 의사가 ‘마스터 로봇’의 초음파 진단기구를 환자 초음파 검사하듯이 움직이면 실제 환자의 배 위에 놓인 ‘슬레이브 로봇’이 움직이며 초음파 영상을 보내온다. 현재 의사 사이에 쓰이는 프랑스 제품은 슬레이브 로봇의 무게가 3.5kg 정도지만 이 로봇은 1.5kg 정도로 훨씬 가볍다. 연구진은 앞으로 의사가 슬레이브 로봇과 환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까지 느낄 수 있도록 ‘햅틱 기술’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서 박사는 “현재는 로봇이 환자랑 어느 정도 힘으로 접촉하는지 몰라 이미지를 보거나 의사가 환자와 통화하며 확인할 수 있다”며 “그것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 뒤 임상실험을 거쳐 상용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