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베를린 필하모닉과 생애 첫 협연에 나선 피아니스트 조성진(사진)이 라벨의 피아노 협주곡 1악장 연주를 마친 뒤 2악장을 준비하려던 찰나 희미한 기계음이 일순간 정적을 깼다. 다음 악장 준비에 온 신경을 기울이던 조성진은 리듬이 깨진 듯 약 3초 동안 숨을 고른 뒤 다시 피아노 건반 위에 손을 올렸다.
클래식 애호가들이 손꼽아 기다려 왔던 공연에서 ‘옥의 티’로 남은 기계음은 다름 아닌 라벨 협주곡 1악장의 후반부가 녹음된 소리였다. 객석 1층에서 조성진의 연주를 몰래 녹음한 관객이 실수로 음원 파일을 재생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날 음악회 1부가 끝난 뒤 로비 이곳저곳에서는 정돈되지 않은 객석 분위기에 대한 민원이 쏟아졌다고 한다. ‘녹음기 재생’ 사건 이외에도 연주가 끝나자마자 치는 ‘안다 박수’(곡이 끝날 때를 잘 안다는 과시성 박수), 합창석에서 공연 중 울려 퍼진 연이은 ‘카톡’ 소리 등에 대한 불만을 제기한 관객들이 많았다. 예술의전당 관계자는 “1부가 끝난 뒤 민원이 많아 2부를 시작하기 전 공연 관람 예절에 대한 안내 멘트를 한 번 더 틀었을 정도”라며 “몰래 공연을 녹음한 관객에게는 해당 녹음을 지워달라고 따로 요구했다”고 전했다.
이같은 ‘소음 테러’는 공연계의 해묵은 고민거리다. 2011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오케스트라인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내한 공연 당시 브루크너 교향곡 8번의 느린 악장 연주 도중 40초가량 가까이 이어진 휴대전화 벨소리, 2013년 서울시향의 말러 교향곡 9번 연주 중 울려 퍼진 그룹 ‘버스커버스커’의 ‘벚꽃 엔딩’ 등은 지금까지도 회자하는 유명 사건들이다.
이런 일들이 반복되면서 공연장들도 ‘관람 비매너’와의 전쟁에 나섰다. 우선 예술의전당은 내달부터 대규모 관람 예절 캠페인을 벌이기로 했다. 예술의전당 관계자는 “‘안다 박수’ 자제, 공연 중 촬영·녹음 금지, 관람 연령 안내 등 기본 관람 에티켓을 그림으로 설명한 소책자 등을 대량 배포할 예정”이라며 “배너를 세워두는 기존 방식보다 더 적극적으로 관람 매너를 안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LG아트센터는 공연 특징에 맞는 현장감 넘치는 관람 예절 안내 멘트를 내보내고 있으며 롯데콘서트홀은 공연장 무료 체험 프로그램인 ‘롯데콘서트홀 프리뷰’ 등을 통해 공연 관람 예절 영상을 상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