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부분유료화 앱이 대세…비게임은 52%, 게임은 71% 달해

전세계 앱 전문가 1,200명 대상 설문..부분유료화 가장 선호

유료 이용하면 추가 기능 제공하는 '기능성' 모델 보편적

고정형 전체화면 광고와 동영상 광고는 앱 사용 감점 요인






앱의 수익 모델로 인앱결제 등 부분유료화 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앱시장조사기관 앱애니는 전 세계 1,200여명의 앱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 전 세계 게임 앱 중 부분유료화 방식을 쓰는 비율이 71%, 은행, 유통, 식음료 등 비(非) 게임 분야의 앱도 ‘프리미엄’ 도입률이 절반가량인 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부분 유료화는 앱 다운로드 자체는 공짜지만 이후 기능 향상이나 콘텐츠 업그레이드 등의 혜택은 유료로 파는 제도로 ‘인앱결제’ 혹은 ‘인앱구매’로도 불린다.

관련기사



앱애니는 부분유료화의 세부 기법을 조사한 결과 유료 전환 시 새 아이템 도입, 속도 상승, 콘텐츠 추가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기능성’ 방식이 가장 인기가 높았다고 전했다. 부분유료화 앱 중 기능성 모델을 쓰는 비율은 게임 분야가 75%, 비게임 분야는 54%에 달했다.

한편 조사에서 응답자의 74%는 앱 동영상 광고가 사용자 경험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고정 전체화면 광고를 부정적으로 평한 경우는 90%에 달했다.

앱 애니는 ”동영상 광고와 전체 광고는 앱 기능을 일시 정지하는 광고인 만큼 불편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런 수익 모델을 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광고 해제 방법과 광고 노출 시점을 잘 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