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금리인상, 긴축시대 예고] 1,400조 넘어선 가계부채에 비상등

이자부담 2조3,000억 늘어…빚 못갚는 '고위험군' 증가 전망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가 인상됨에 따라 1,400조를 훌쩍 넘어선 가계부채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금리가 0.25%p 오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1,419조1,000억원) 중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 잔액 1,341조1,515억원에 대한 이자 부담은 2조3,000억원 가량 늘어난다. 통계청의 올해 가구 추계(1,952만 가구)에 반영해보면 가구당 가계부채는 7,269만원, 가구당 늘어나는 이자 부담은 18만1,725원에 이를 전망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앞으로 금리 상승이 본격화하면 부채를 갚지 못하는 고위험가구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이 발표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에 따르면 가계부채가 부실해질 수 있는 위험 가구는 지난해 3월 말 기준 전체 부채 보유가구의 11.6%에 달하는 126만3,000 가구에 이른다. 이 가운데 보유자산을 팔아도 부채를 상환할 능력이 취약한 고위험가구는 전체 부채 보유가구의 2.9%인 31만5,000 가구나 되는데 금리 인상이 되면 전체 부채 가구 중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한은은 대출금리가 0.5% p, 1%p 오를 경우 고위험가구가 각각 8,000 가구, 2만5,000 가구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고위험가구 금융부채는 각각 4조7,000억원, 9조2,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현대경제연구원도 지난 5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연간 평균 이자비용은 308만원에서 476만원으로 168만원 늘어나고, 특히 한계가구는 803만원에서 1천135만원으로 332만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금리가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면 고위험가구의 수와 부채가 큰 폭으로 늘면서 가계부채의 취약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