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화성 15형' 분석해보니]탄두부 뭉툭...다탄두 계산해 설계

대기권 재진입기술 확보 주력할 듯

김정은(오른쪽 첫번째)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군 관계자들과 함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29일자로 보도했다.//연합뉴스김정은(오른쪽 첫번째)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군 관계자들과 함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29일자로 보도했다.//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9일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성능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 발사 직후 전문가들의 평가는 엇갈렸다. 신형이라는 평가와 화성-14형의 개량형이라는 분석이 동시에 나왔다. 북한이 발사 다음 날인 30일 화성-15형라는 새로운 이름을 밝혔어도 개량형이라는 의구심은 여전히 남았다. 사회주의 정권, 특히 북한 특유의 과장 선전이 많았던 탓이다.

그러나 북한이 노동신문 홈페이지를 통해 발사 전후 사진 40장을 공개한 뒤부터 신형이라는 분석이 우세해지는 분위기다. 군 당국도 일단 신형으로 판단했다. 노재천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관련 질문에 ‘좀 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신형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에서 보이는 차별 포인트는 크게 세 가지다. 전반적인 크기(두께 포함)와 탄두의 외형, 1·2단 연결 부분이 화성-14형과 다르다. 동체 길이와 두께부터 보자. 화성-15형은 동체 길이가 화성-14형(19m)보다 2m 늘어난 21m로 분석됐다. 이동식발사차량(TEL)의 차축이 화성-14형의 8축에서 9축으로 늘어난 것도 동체가 커졌기 때문이다. 바퀴가 9축으로 구성된 TEL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께(직경) 역시 1.7m에서 2m가량으로 커진 것으로 보인다. 추진체 외형도 바뀌었다. 주엔진인 백두산 엔진 2개를 쌍둥이 형태로 연결해 두께가 두꺼워졌다. 추진제를 넣는 연료통 용량도 키웠을 것으로 분석된다.


탄두부는 이전과는 확연하게 다르다. 7월 두 차례 발사된 화성-14형의 뾰쪽한 탄두부와 대조적으로 둥글고 뭉툭해진 모양이다.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재진입체가 들어 있을 보호 덮개는 다탄두까지 계산해서 향상을 설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렇다고 화성-15형이 다탄두를 장착한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형인 화성-15형의 사거리는 최소한 1만㎞~최대 1만2,000㎞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지구의 곡면을 감안하고 북한에서 발사한 ICBM이 북극을 경유할 경우 미국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거리다.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선임연구위원은 “화성-15형의 추력은 80~100톤급 이상으로 보인다”며 “북한은 이로써 처음으로 미국을 타격할 수 있는 운반체를 갖게 됐다”고 평가했다. 북한 당국이 ‘화성-15형’을 핵무기의 완성이라고 보도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북한이 일단 운반체를 만드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면 다음 수순은 운반체의 신뢰성 확보와 다탄두화 핵무기 소형화 및 대기권 재진입 기술 확보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기술들이 쉽지 않아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지만 반대 해석도 나온다. 불과 75일 만에 신형 ICBM을 쏘아 올리는 전무후무한 개발 속도로 볼 때 정상적인 예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양 위원은 이 같은 개발 속도에 대해 “북한이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데다 러시아 퇴역 기술자들이 도와주고 있는 것 같다”고 풀이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