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韓 투자자 연소득 10% ‘노후대비’ 저축…아시아 평균 밑돌아

한국 투자자들이 노후 대비를 위해 저축하는 수준이 아시아 평균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슈로더는 5일 직접 조사한 ‘슈로더 글로벌 투자자 스터디 2017’을 통해 “한국 투자자들은 연 소득의 10.2%를 은퇴자산 마련 목적으로 저축하고 있으며 스스로 충분하지 못하다고 여긴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한 “은퇴 이후 편안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현재 수준보다 조금 더 높은 연소득의 12.5%를 저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슈로더투신운용이 30개국 2만2,000여 명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세계 투자자들의 은퇴 이후 주요 소득원은 ‘저축 및 투자자금(20%)’로 나타났다. 이어 국가연금(19%), 기업연금(18%), 개인연금(12%) 순이다. 다만 한국은 기업연금(18%)이 가장 높았으며 저축 및 투자자금(16%), 국가연금(14%), 개인연금(12%) 순이었다. 이외의 소득원들로는 부동산 임대 소득 (7%), 친인척으로부터 받는 자금 (7%), 시간제 단기직 (6%), 상속 (5%) 등이 있었다.


저축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생각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 추세다.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연소득의 약 11.4%를 저축하고 있지만 기대 저축 수준은 약 13.7%로 높았다. 또한 은퇴한 투자자들 중 66%가 더 저축하지 못했던 것을 후회했다. 이 중 22%의 응답자들은 저축 비중을 훨씬 더 크게 확대했어야 한다고 답했다. 특히 아시아의 투자자들 사이에서 이런 후회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은퇴한 응답자의 100%가 저축을 더 늘렸어야 했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또한 전세계 응답자의 63%는 완전히 은퇴하기 전에 평균 3~4년 간은 단시간이라도 근무를 지속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0%는 현재 자신의 취미 활동이 소득원이 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레슬리 앤 모건 (Lesley-Ann Morgan) 슈로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전략 및 은퇴 총괄 헤드는 “만약 은퇴를 위한 저축을 30세에 시작했다면 매년 연소득의 15%를 저축해야 희망 은퇴 연령인 60세 때 평균 월급의 절반 수준의 생활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저축을 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무기는 시간이다. 수익으로부터 추가적인 수익을 기대 가능한 복리의 기적은 30~40년의 저축 기간동안 크게 더해지기 때문에 이른 나이부터 저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