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점거 농성' 서울대 학생 12명 징계 해제

성낙인 총장 "학생들은 서울대 가족…총장 직권 결정"

서울대학교 본관 점거 농성으로 무기정학 등 징계를 받은 서울대 학생들의 징계가 해제됐다.

성낙인 서울대 총장은 5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에서 총학생회장 등과 함께 6자 간담회를 열었다. 서울대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성 총장은 5일을 기해 학생들에 대한 징계를 해제한다는 뜻을 밝혔다.

성 총장은 “긴 고민 끝에 학생들의 징계 철회를 결정했다”며 “학생들은 서울대 가족이고 징계는 교육적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었기 때문에 적절한 시점에서 철회하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해 왔다. 이번 결정은 전적으로 총장이 책임지고 총장 직권으로 내린 결정”이라고 했다. 이어 “그동안 학생들과의 갈등 상황에서 상처받은 많은 교수와 직원들이 계신다. 그 분들께는 양해를 구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결정으로 서울대 시흥캠퍼스 조성 사업에 반대하며 지난해부터 올해 7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본관 점거 농성을 벌였던 학생들은 징계를 벗어나게 됐다. 서울대는 지난 7월 징계위원회를 열어 점거 농성을 주도한 학생 8명에게 무기정학 징계를 내리는 등 12명을 징계했다.

관련기사



이후 징계 학생들은 법원에 징계 무효 확인 청구 소송을 냈다. 이들이 신청한 징계 효력 정지 가처분이 받아들여지면서 실제 징계 효력은 정지된 상태였다.

성 총장은 앞서 지난 10월 열린 국회의 서울대 국정감사에서 ‘징계 해제 용의가 있느냐’는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를 받고 “현 학생회장단 임기가 만료되기 전에 적절한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말해 사실상 징계 해제 의지를 드러냈다.

한편 이날 성 총장은 갈등의 발단이 됐던 서울대 시흥캠퍼스 조성과 관련, “약속한 바와 같이 시흥캠퍼스에 기존 학사단위가 이전하거나 기숙형 대학(RC)을 만드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시흥캠퍼스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연구개발(R&D)가 중심이 된 스마트 캠퍼스로 조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미 굴지의 기업들이 시흥캠퍼스를 활용한 미래먹거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제안해 왔다”며 “아마 곧 가시적인 성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