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바이오시장 주름 잡는 보톡스

미용성형 시술 수요 꾸준히 ↑

글로벌 시장 규모 7조원 전망

휴젤·대웅제약·휴온스 이어

파마리서치 등도 시장에 가세

출혈경쟁으로 수익성 악화 우려도

0715A17 보툴리눔 톡신


주름 치료제의 대명사인 보툴리눔톡신(일명 보톡스) 시장에 국내 기업들이 앞다퉈 도전장을 내밀며 ‘보톡스 광풍’이 불고 있다. 고령화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지만 시장 과열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결국은 해외시장 돌파로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미용용 필러 전문업체 파마리서치프로젝트는 최근 보툴리눔톡신 제조기업 바이오씨앤디를 인수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파마리서치프로젝트는 이른 시일 내에 인수작업을 마무리한 뒤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아 제품을 내놓을 계획이다.

보툴리눔톡신은 세계 첫 제품인 엘러간의 ‘보톡스’가 원조지만 국내 시장은 ‘국산 전성시대’가 된 지 오래다. 앞서 메디톡스(086900)가 국산 보툴리눔톡신 시장을 열어젖혔고 휴젤, 대웅제약, 휴온스글로벌이 상용화에 성공했다. 국산 보툴리눔톡신의 시장 점유율은 90%에 이른다. 이번에 파마리서치프로젝트까지 시장에 가세하면서 보툴리눔톡신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밝힌 국내 기업은 프로톡스, ATGC, 프로넥스, 바이오토피아 등 10곳을 넘어섰다.


국내 바이오제약기업들이 보툴리눔톡신 시장에 눈을 돌리는 것은 미용성형 시술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요가 늘고 있어서다. 1996년 엘러간이 국내에 처음 출시할 당시만 해도 시장 규모는 100억원 안팎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1,000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같은 기간 회당 100만원에 달했던 시술비용이 5만원 수준으로 낮아진 것도 이유다. 세균의 일종인 보툴리눔톡신의 특성상 한번 균주를 확보하면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적고 지속적으로 시술을 받아야 한다는 점도 국내 기업들이 군침을 흘리는 이유다.

관련기사



보툴리눔톡신 시장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은 생산설비 투자로 이어지고 있다. 대웅제약은 최근 연간 450만병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준공했고 휴젤은 250만병 수준인 공장을 증설해 내년 초 500만병으로 늘릴 계획이다. 일찌감치 설비투자에 나선 메디톡스는 1·2·3공장을 합쳐 국내 최대인 1,020만병 수준의 보툴리눔톡신 공장을 가동 중이다.

보툴리눔톡신을 둘러싼 경쟁이 가열되면서 가격 인하를 앞세운 ‘제살 깎아먹기’도 현실화하고 있다. 메디톡스는 지난 7월 주력 제품인 ‘메디톡신’ 가격을 20% 인하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후발주자들의 거센 추격을 방어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한 고육지책이라는 분석이다. 가격 인하로 메디톡스의 올 3·4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5% 줄었다.

업계에서는 국산 보툴리눔톡신의 경쟁력에 대해 얼마나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느냐에 따라 명운이 갈릴 것으로 내다본다. 국내 시장은 1,000억원 규모지만 글로벌 시장은 이미 4조원을 넘어섰고 향후 5년 내로 7조원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고령화로 미용성형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당분간은 늘겠지만 시장이 과열되면서 국내 시장만으로 한계가 뒤따를 수밖에 없다”며 “글로벌 보툴리눔톡신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 얼마나 성공적으로 안착하느냐가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