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찰청장 직접 만나 억울함 호소했더니…’

울산경철청 ‘시민과 경찰 협의회’ 큰 호응

시민 억울한 사연에 경찰 ‘문제 해결사’로 나서

지난 10월 울산 중구의 한 신축공사장 앞을 지나가던 A씨는 공사 중 인도 쪽으로 떨어지는 진흙 파편을 피하다가 다쳤다. 억울한 A씨는 지자체 등에 도움을 요청했으나, 민원을 접수해주지 않고 어떤 조치도 취해주지 않았다. A씨는 마지막으로 경찰서 형사과에 상담을 요청했는데, 담당 형사가 A씨의 사연을 듣고 공사관계자를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그러자 곧바로 가해 회사에서 자발적으로 A씨의 피해를 회복시켜줬다.

울산경찰청이 지난 9월부터 시작한 ‘시민과 경찰 협의회’가 ‘사이다’같은 속 시원한 일처리로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경찰이 억울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해결해 주기 위해 마련한 협의회로 지역 유지나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아닌, 다양한 분야의 평범한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문화 가정과 북한 이탈주민, 건설플랜트 노조원, 택시기사, 이장, 재래시장 상인, 외국인 근로자, 장애인, 하청업체 근로자, 대리운전 기사, 독거노인, 장애인 부모, 식당 종업원 등 다양하다. 이들의 목소리 또한 다양했다. 경찰은 스쿨존 차량통행제한구역 지정을 추가했으며, 대형 화물차량의 운전특성 교육 기회 마련하는 등 매월 10여 건 안팎의 제안을 받아 실천하고 있다. 협의회는 단순한 이벤트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경찰과 시민이 뜻을 합해 치안정책을 수립하는 공동체 치안의 성공적 모델로 정착되고 있다.


무엇보다 협의회는 시민들의 억울한 사연을 듣고 해결하는 ‘문제 해결사’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경찰은 그동안 ‘민사라서 경찰이 관여 못한다’는 생각을 ‘국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한 행정경찰의 역할’을 강조하며 보다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관련기사



황운하 청장이 직접 민원인을 만나 해결하는 경우도 많다. 지난 달 울산 울주군에서 구두를 닦으며 생활하는 노령의 청각장애인 김모씨가 힘들게 번 200만원을 지인에게 빌려줬으나, 받지 못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경찰청장에게 편지를 썼다. 편지를 읽은 황운하 청장은 김씨에게 피해신고 방법에 대한 설명과 함께, 수사관에게 상담을 받도록 안내했다. 수사관이 수사에 착수하자 돈을 빌린 이가 곧바로 갚아 김씨의 억울함이 사라졌다.

황운하 울산청장은 “시민들이 경찰에 바라는 것은 시민들이 겪는 문제들을 경찰이 신속하게 해결해 주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형사사건화 이전 단계부터 적극적인 조정과 개입을 통해 억울한 시민의 피해를 신속하게 회복해주겠다”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