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대구신세계 오픈 1년만에 매출 6,600억원 돌파... 대구 랜드마크 되다

오픈 후 3,300만명 방문…절반 이상이 타지인

12일까지 6,650억원 매출...수도권 외 매출 전체 1위 및 전국 10위권 단숨 진입

복합환승센터, 문화공연과 예술전시로 고객 집객

대구 신세계 전경./사진제공=신세계대구 신세계 전경./사진제공=신세계




오는 15일 개점 1주년을 맞는 대구 신세계(004170)가 오픈 후 지금까지 3,300만명이 다녀가는 등 대구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방문객 가운데 절반 이상(56.3%)이 타 지역 거주민으로 대구시 유동인구 증가에 큰 몫을 했다는 평가다. 모든 교통수단을 10분내로 환승이 가능한 복합환승센터라는 장점에 신세계그룹의 유통 노하우가 더해진 결과다. 동대구 복합환승센터에는 KTX와 SRT, 고속버스, 시ㆍ내외버스, 지하철 등 모든 대중교통 수단이 집결돼 경북지역은 물론, 수도권, 충청도 거주자들까지 모여든다.


대구 신세계의 올해 매출은 6,600억원을 넘을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센텀시티점의 영업 첫해 매출인 5,460억원을 가뿐히 뛰어넘는다. 대구 신세계는 지역 매출 1위는 물론 전국 10위권 내로 단숨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대구 신세계 매출은 계속해서 성장세일 것으로 보인다. 코레일과 SRT 자료를 살펴본 결과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오픈 후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고속철도 이용객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 20% 증가했을 뿐 아니라 복합환승센터와 연결되는 지하철 동대구역 승하차 인원 역시 대구신세계 오픈 후에 41% 늘어났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국국제공항에서 취항하는 국내외 항공사가 늘어난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대구 신세계가 랜드마크로 자리잡은 데는 가족 엔터테인먼트 시설, 세계 각국의 먹거리, 고품격 문화 콘텐츠도 한몫했다.

관련기사



지역 최초로 들어선 ‘아쿠아리움’을 시작으로 옥외 테마파크 ‘주라지’, 스포츠 테마파크 ‘트램폴린 파크’, 1930년대 상해를 재현한 맛집 거리 ‘루앙스트리트’, 영화관, 대형서점 등이 있다.

지난 1년간 진행한 총 300여회의 공연을 통해 50만명이 넘는 지역민들이 다녀갔다.

대구신세계는 오픈 1주년을 맞아 피아니스트 조성진 리사이틀 등 다양한 문화 행사 뿐 아니라 축하 사은행사를 펼친다.

장재영 신세계백화점 사장은 “지자체 기업투자 유치 프로젝트의 대표 성공 사례로 남게 된 대구신세계는 앞으로도 지역 발전은 물론 지역민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