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삼성서울병원, 간암환자 맞춤 치료법 개발한다

싱가포르 유전체연구소·암센터 등과 공동

삼성서울병원은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유전체연구소(GIS), 국립암센터(NCCS) 등 4개 기관과 ‘간암 정밀의료 플랫폼’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간암 환자의 유전체를 분석한 뒤 수많은 약물과의 반응 결과를 예측, 가장 잘 듣는 맞춤형 치료법을 신속하게 찾아내기 위해서다. 지금은 3~4개월가량 걸리는데 3주 이내로 단축하는 게 목표다. 맞춤 약물 개발도 추진한다.

삼성서울병원은 1단계로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안에 아바타 시스템 모델을 적용한 공동 연구실험실을 마련하고 인적교류·공동연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공동연구에는 싱가포르 분자세포생물학연구소(IMCB)와 싱가포르국립대학(NUS)도 참여한다.


이번 연구계약은 싱가포르 과학기술청이 지난해 삼성서울병원의 개인맞춤 치료 모델인 아바타 시스템에 관심을 갖고 사업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유전체 분석을 기반으로 한 아바타 시스템은 환자의 세포를 이용해 맞춤형 항암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다.

관련기사



병원 측은 아바타 시스템과 관련, 최근 3년간 저명 학술지인 ‘암세포’(Cancer Cell) 및 ‘네이처 유전학’(Nature Genetics)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으며 임상 적용을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간암은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양국에서 남성에게 네 번째로 흔한 암이지만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다.

벤자민 시트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생물의학연구위원회(BMRC) 위원장은 “새로운 간암 치료법 및 약물 개발을 위한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권오정 삼성서울병원장도 “아시아 지역의 간암 환자를 위한 의미있는 혁신을 일으키는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