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내년부터 언락폰 가격 낮아진다

가계통신정책협의회, 자급제 활성화 방안 논의

언락폰 가격 낮추고 출시시기도 이통사와 같게 조정

다음주부터 보편요금제 논의 예정

내년에 출시될 ‘갤럭시S9’과 같은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삼성전자 매장 등에서 자급제폰(언락폰)으로 구입 할 경우 이통사 매장에서와 같은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할 전망이다. 지금까지 이통사가 아닌 유통매장에서 자급제 형태로 판매되는 휴대전화는 가격이 10% 가량 높았다.

가계통신비정책협의회는 15일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4차 회의를 열고 단말기 완전 자급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날 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삼성전자는 내년부터 기존 중저가 모델 외에 플래그십 모델에 대해서도 자급제 단말을 출시할 계획을 밝혔다”며 “이외에도 삼성전자는 점진적으로 자급제 단말 출시를 확대해 나가고 이통사에서 출시되는 제품과의 출시시기 및 가격차이도 해소해 나간다는 계획을 알렸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회의 참석 위원들은 자급제 단말 구입 고객이 더 비싼 가격에 단말기를 구입하지 않도록 이통사 측의 협조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통사들은 이 같은 방향에 맞춰 자급제 단말에 적합한 유심요금제 출시를 비롯해 온라인을 통한 요금제 가입시 할인 혜택 확대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단말기 출고가 인하와 외국산 단말기 수입과 관련한 인증 개선 방안, 분리 공시제 도입, 단말기 국제가격 비교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관련기사



단말기 자급제는 완전자급제를 강제하기 보다는 자급제를 활성화 하는 방향으로 초점이 맞춰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완전자급제 도입 시 단말기 구입 부담을 낮추고 유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유로 자급제 취지에 공감한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선택약정할인 폐지에 따른 통신비용 증가 및 법률로 자급제를 강제하는 해외 사례가 없다는 이유 등으로 이에 반대하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협의회 관계자는 “이통사는 완전자급제를 법률로 시행하게 돼 유통망이 구조 조정되는 경우 유통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이 외에 완전자급제 도입 시 나타날 수 있는 경품경쟁 등의 편법 행위 등에 대한 시장 모니터링 및 제재 강화 등의 방안이 논의됐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오는 22일 보편요금제 도입을 주제로 제5차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