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인공지능으로 '태양계의 미니버전' 발견

2,545광년 떨어져…8개행성 거느린 '케플러-90계'

NASA·구글 공동연구로 머신러닝 활용한 결과물

나사(NASA)와 구글이 또 다른 태양계인 ‘케플러-90계’를 발견했다./연합뉴스나사(NASA)와 구글이 또 다른 태양계인 ‘케플러-90계’를 발견했다./연합뉴스


인공지능이 또 다른 태양계를 발견했다. 이 태양계는 8개의 행성을 거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14일(현지시간) AP, AFP통신에 따르면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과 구글은 나사의 케플러 우주 망원경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케플러-90계’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텍사스대 천문학자 앤드루 밴더버그는 “케플러-90계는 태양계의 미니 버전이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케플러-90계는 지구에서 2,545광년 떨어져 있으며, 8개의 행성이 14.4일 주기로 공전한다. ‘케플러-90i’라 이름 붙여진 행성은 지구처럼 암석으로 이뤄졌고 표면 온도는 섭씨 426도에 달해 생명체가 살기엔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다. 태양계로 보면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인 수성과 비슷한 수준이다.

관련기사



이번 발견은 머신러닝을 활용해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수집한 행성 신호 3만5,000여건을 기반으로 스스로 학습해 얻어낸 결과물이다. 구글은 밴더버그 교수와 팀을 이뤄 케플러 우주 망원경의 기존 관찰 정보에 근거해 순식간에 지나가는 미약한 빛을 분석했다.

이전에도 외계행성을 찾는 데 머신러닝이 활용된 적 있지만, 인공 신경망을 활용해 새로운 세상을 찾아낸 것은 처음이라고 AP통신은 전했다. 연구팀은 이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존에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관측한 15만건 이상의 별을 규명하는 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허세민 인턴기자 semin@sedaily.com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