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간기업 여성임원 비율 공개해야"

여가부, 양성평등 기본계획 발표

정부가 성평등 수준을 높이기 위해 민간기업 여성 임원 비율과 성별 임금 정보를 공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 남성의 출산휴가를 현행 3일에서 10일로 늘린다.

여성가족부는 20일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제2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되는 2차 기본계획은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되는 중장기 계획이다.


2차 기본계획에는 △성숙한 남녀평등 의식 확산 △고용과 사회 참여 평등 △일과 생활 균형 △여성의 안전과 건강 등 4대 목표와 이에 따른 6개 분야별 정책 과제가 제시됐다.

관련기사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평등하게 일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기업의 성별 균형 제고를 목표로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적용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기업의 성별 임금 정보와 여성 임원 비율을 공개하도록 할 예정이다. 남성의 가사·육아 참여 활성화를 위해 배우자 유급 출산휴가 기간은 현행 3일에서 최대 10일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여성 대표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여성 고위공무원 목표제와 공공기관 여성 임원 목표제 신규 도입, 군·경찰의 여성 비율 확대를 위한 선발 과정 개선 등을 계획에 담았다. 또 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해 온라인 이용자에게 성평등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생활 속 성차별적 언어 및 표현에 대해 실태조사를 하기로 했다.

여성건강 증진과 관련해서는 최근 문제가 된 생리대에 대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및 건강영향 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