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AI·드론 등 13개 혁신성장동력 선정..2025년까지 일자리 55만개 만든다

정부, 5년간 8조원 투자

11




자율주행차처럼 5년내 조기 상용화가 가능한 분야에는 금융지원과 인프라 조성 등 투자 확대가 이뤄진다. 반면 혁신 신약과 인공지능(AI)과 같이 원천기술 확보가 시급한 분야는 연구환경 개선이 우선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10개 부처는 지난 22일 제13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성장동력특별위원회를 열어 총 13개 혁신성장동력을 선정하고 조기 상용화와 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하는 내용의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관련기사



혁신성장동력은 관계부처 및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뭘키울까’ TF가 총 10차례에 걸친 회의를 통해 선정했다. 지능화인프라·스마트이동체·융합서비스·산업기반 등 4개 분야에 걸쳐 자율주행차·빅데이터·맞춤형헬스케어·스마트시티·가상증강현실·신재생에너지·지능형로봇·드론(무인기)·차세대통신·첨단소재·지능형반도체·혁신신약·AI 등 총 13개다.

5년 내에 조기 상용화가 가능한 8개 분야는 규제개선·실증 등을 통해 민간참여 및 투자확대를 유도한다. 자율주행차·빅데이터·맞춤형헬스케어는 신산업·신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규제개선과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금융지원, 인프라 조성을 추진한다. 스마티시티·가상증강현실·신재생에너지는 산학연 공동의 대형 실증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지능형로봇·드론(무인기)은 국가·공공기관의 구매·활용을 통해 초기 적용실적(Track-record) 확보를 지원하기로 했다.

5개 원천기술확보 분야는 상용화·원천연구를 중점 지원한다. 차세대통신·첨단소재·지능형반도체는 산업분야 적용을 위한 융합 제품·서비스 개발과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혁신신약과 AI는 지속적인 원천연구를 지원하고 혁신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환경 개선이 추진한다. 정부는 내년에 이들 13개 혁신성장동력 분야에 총 1조5,600억원이 지원하는 등 2022년까지 총 7조9,600억원의 정부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2025년 5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어낸다는 계획이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