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30세 미만 청년가구 소득 고작 0.4% 늘어

가처분소득은 3년째 마이너스

청년 고용이 얼어붙은 가운데 10~20대 청년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모든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과 사회보험료를 제외하고 실제 쓸 수 있는 소득은 전 세대에서 유일하게 감소했다.

25일 통계청·한국은행의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30세 미만 가구주의 소득은 3,279만원으로 지난해보다 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모든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전체 평균 증가율인 2.6%보다도 2.2%포인트나 낮았다.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30대는 4.5%, 50대는 4.3%였고 40대도 3.6%였다.


10~20대 청년 가구의 소득은 절대 규모도 60세 이상(3,102만원) 다음으로 작았다. 전체 평균인 5,010만원의 60% 수준으로 소득이 가장 높은 50대(6,367만원)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전체 소득에서 세금과 공적연금·사회보험료 등 의무적인 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뒷걸음질치기까지 했다. 전 세대에서 유일하게 감소한 것으로 30세 미만 가구주의 가처분소득은 2,814만원으로 3년 내리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반면 30세 미만 가구의 부채 증가율은 가장 높았다. 올해 3월 말 기준 30세 미만 가구의 부채는 2,385만원으로 지난해보다 41.9% 늘었다.

30세 미만 가구의 소득 사정이 어려워진 것은 풀릴 기미가 없는 청년 취업난 때문으로 분석된다. 취직하지 못하거나 어렵게 취업하더라도 급여·복지 수준이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청년들이 많아지는 것이다. 실제 15∼29세 청년 실업률은 지난해 9.8%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