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소상공인 범법자 내몰릴 위기… 뜨거운 감자 ‘전안법’

소상공인 “인증 받지 못한 제품 판매 못해”

연초부터 영세 소상공인 범법자 내몰릴 위기

산자부 문제 인식… “전안법 개정안 통과돼야”

여야 당리당략 싸움… 수백만 소상공인 생계 위협





[앵커]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이른바 전안법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안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내년 1월 1일부터 전기용품과 마찬가지로 옷이나 액세서리 등 생활용품에도 KC 인증 의무가 적용될 예정이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되면,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영세 소상공인이 타격을 입는 것은 물론 자칫하면 범법자로 내몰릴 수도 있다는 우려가 상당합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마지막 국회 본회의가 무산되면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안전관리법, 이른바 전안법 개정안 처리가 불발됐습니다.

전안법은 기존의 전기용품 등에 적용되던 전기제품안전법과 의류, 잡화 등 생활용품에 적용되던 품질안전법을 하나로 합친 겁니다.

전자제품·옷 등의 안전규정을 담고 있는데, 논란의 핵심은 전안법이 시행되면 KC 인증이 의무화 된다는 겁니다.

즉, KC인증 받지 못한 제품은 판매 할 수가 없게 됩니다. 이를 어기면 3년 이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 벌금 또는 500만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당장 1월 1일부터 영세 소상공인들이 한 순간에 범법자로 내몰릴 수 있는 겁니다.


시중에 팔고 있는 의류 등 수천 가지 잡화에 KC 인증을 받아야 팔 수 있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개정안은 의류, 가죽, 액세서리 등은 의무적으로 인증을 받는 대신 추후 안전성 조사 등을 통해 사후 관리하도록 바꿨습니다.

[인터뷰] 박중현 / 전안법대책위원장

“국회가 이런 상태기 때문에 유예됐던 현재법이 다시 살아날 수 밖에 없어요. 지금 현행법대로 하면 KC 마크를 부착을 해야 해요. 어마어마한 피해가 오거든요. 소상공인들 다 범법자가 되는 거죠. 기본적으로. ”

기존 법안을 발의했던 산자부(산업통산자업부)도 문제를 인식하고 개정안이 꼭 통과돼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안성우 / 산자부 생활제품안전 과장

“기존의 안이 문제가 없는 건 아니죠. 일단은 이 법 자체가 준수를 하기에는 어렵다는걸 인식을 하기 때문에 개선을 하기 위한 개정을 한 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연내 국회 통과가 저희도 꼭 되야 한다는 입장이고요. ”

여야의 당리당략 싸움에 수백만의 소상공인이 생계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보다 조속한 처리가 시급합니다.

[영상편집 소혜영]

김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