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통일부 “길주군 탈북민 2명 피폭 의심…핵실험 영향 단정못해”

통일부 “길주군 탈북민 2명 피폭 의심…핵실험 영향 단정못해”




통일부는 27일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에 거주했던 탈북민 일부에게서 방사선 피폭을 의심할 수 있는 검사 결과가 나왔지만, 핵실험 영향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이날 길주군 출신 탈북민 30명에 대한 방사선 피폭 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일부는 “이번 검사를 통해 길주군 출신 일부 탈북민의 방사선 피폭을 의심할 수는 있으나 (연령과 흡연력 등) 여러 교란변수로 인해 그 시기와 원인을 단정할 수는 없었다”고 전했다.

통일부는 한국원자력의학원에 의뢰해 ▲전신계수기 ▲소변시료 분석 ▲안정형 염색체이상 분석 등의 피폭 검사를 했다.

이 중 방사선 피폭에 따른 염색체 이상을 알아보는 ‘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 검사’에서 4명이 최소검출한계인 0.25 그레이(Gy)를 넘는 수치를 보였다.

이는 세포 1천 개에서 염색체 이상이 7개 이상 나타났다는 의미다.

4명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주민은 2명으로, 방사선 피폭도 원인일 수 있지만 북한에서의 거주환경이나 고령인 나이, 장기간 흡연 등의 영향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한국원자력의학원 관계자는 “국내에서 일반인 120명을 검사했을 때도 (최소검출한계를 넘는 사람이) 4명 나왔었다”고 말했다.


이들 4명에 대해 ‘안정형’보다 민감도가 높은 ‘불안정형 염색이상분석 검사’가 추가 실시됐으나 모두 최소검출한계(0.1 그레이) 미만의 수치를 보였다.

관련기사



전신계수기 검사와 소변 시료 분석 검사에서는 의미 있는 결과가 없었다.

하지만 방사성 물질의 유효반감기에 따라 체내 방사능 오염 정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핵실험에 따른 오염이 있었더라도 이번 검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 수 있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통일부는 “원인을 특정하기에는 검사 사례 수가 충분하지 못하고 교란변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하며 30명 모두 탈북 시기가 2016년 1월 4차 핵실험 이전이라 장기간이 경과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길주군 출신 전체 탈북민 중 일부 희망자만을 대상으로 검사를 했고 4차 핵실험 이후 입국한 탈북민은 없는 점 등 검사 대상 선정상의 한계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통일부 당국자는 “(피폭을 확정하려면) 토양·식수원 상태 등 주변 환경에 대한 추가 정보를 종합적으로 장기간 분석해야 하는데 그럴 수 있는 상황이 아니어서 현재는 이 정도로 결과를 도출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피폭 검사는 2006년 1차 핵실험 이후 탈북한 길주군 출신 114명 중 검사를 희망한 남성 4명과 여성 26명 등 30명을 대상으로 10월 24일∼12월 16일 실시됐다.

통일부는 방사선 피폭 의심 탈북민에게는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권고하는 한편 탈북 시기와 지역 등을 고려해 방사선 피폭검사를 추가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